10년째 새는 녹산 하수관… 시, 복구 계획도 없다?

입력 : 2025-09-25 21:00: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하수처리장 방류관 하루 8만t
산단 앞바다에 80% 이상 누수
어민 피해 보상도 흐지부지
"이설 계획 있어 보수 안 할 것"
부산시, 방치·이중 태도 논란

부산 강서구 녹산하수처리장 일대 전경. 빨간색 선은 방류관 위치. 정종회 기자 jjh@ 부산 강서구 녹산하수처리장 일대 전경. 빨간색 선은 방류관 위치. 정종회 기자 jjh@

11년 전 누수가 최초 확인돼 응급 복구가 이뤄졌던 부산 강서구 녹산하수처리장 심해 방류관에서 하수가 대량으로 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가 응급 복구 이후 제대로 된 조치를 하지 않은 채 누수를 방치한 탓인데 하수로 인한 어업 피해로 보상 절차가 진행 중인 어민들은 앞으로도 피해가 지속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25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6~7월 한 달간 강서구 녹산공단 앞 바다를 지나는 녹산하수처리장 방류관을 조사한 결과 일 평균 8만 2000t의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는 하수 누수량이 증가한 것 같다는 어민의 신고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누수율은 87%에 달했다. 방류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 대부분이 샌다는 의미다. 누수가 없다면 가덕도 대항동 앞 방류관 말단까지 가서 방류되어야 할 하수가, 녹산산단 인근 눌차만 가까운 바다에 버려지고 있다.

방류관은 눌차만 인근 해양 오염 등을 막기 위해 2005년 설치됐다. 당시 1000억 원대 예산이 투입됐고, 총 길이 10.3km 길이로 육상관로와 해저터널의 등을 거쳐 가덕도 대항동 해상까지 이어진다. 최초 방류관 훼손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건 2014년으로, 방류관의 250m 구간에 걸쳐 찌그러짐과 균열, 찢어짐 등이 확인됐다.

누수 최초 확인 이후 10년째 누수가 이어지고 있지만 시는 누수 복구에 사실상 손을 놨다. 시와 방류관 시공사는 2015년부터 법적 공방을 벌였다. 한때 시와 시공사가 우선 복구를 하겠다고 나서기도 했지만, 피해보상 여부가 불투명하던 당시 어민들이 복구 과정에서의 추가 피해를 우려하면서 흐지부지됐다.


2022년 무렵 시는 아예 보수를 하지 않기로 입장을 결정했다. 가덕신공항과 에어시티 조성으로 방류관이 지나는 눌차만 매립 등이 예정되면서 방류관 이설을 해야 한다는 이유에서였다. 녹산 앞바다에 누수되는 하수가 법적 기준을 충족한다는 이유도 이러한 판단의 배경이 됐다. 이 과정에서 방류관은 응급 복구만 해둔 상태였고, 누수율은 어느샌가 90%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올랐다.

하지만 시의 이런 대처가 어민의 객관적인 누수 피해를 외면하는 대처라는 지적도 나온다. 시의 결정과 배치되게 누수로 인한 어민 피해가 입증됐기 때문이다. 근해 방류로 인한 어업 피해 여부를 조사한 용역 보고서에는 “녹산 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누수와 이에 따른 근해 방류(임시 방류)는 인근 해역의 해양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근해 방류 지점과 누수 지점 간 거리는 약 1.5km 내외다. 이로 인한 어업 피해가 확인돼 보상이 진행 중이다.

지역 어민들은 하수가 이곳에서 양식하는 낙동김와 굴 등 생산량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하수 처리에 사용되는 황산알미늄8%, 염화제2철 등 화학약품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성분이 섞인 하수가 해역을 오염시켰다는 게 어민 측의 주장이다. 동선어촌계 김인배 계장은 “김 양식 줄에 붙은 해초류가 녹거나 전복이 모두 폐사하기도 했다”며 “방류관과 가까운 양식장일수록 피해가 크다”고 말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법정 기준치 이내 정수를 거쳐 방류하는 하수이기에 법적 문제는 없다”며 “어업 피해 용역 최종 설명회 일정을 어민들과 조율하는 중으로 피해 여부는 알려줄 수 없다”고 말했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금정산챌린지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