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이산가족 교류’ 북한에 제안…“생사 확인이라도 하게 해야”

입력 : 2025-10-03 19:06:09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인천 강화강화평화전망대 실향민 만남
“인도적 차원의 생사확인·편지교류 할 수 있어야”

이재명 대통령이 추석 연휴 첫날인 3일 인천 강화군 강화평화전망대에서 실향민 가족들과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일대를 바라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추석 연휴 첫날인 3일 인천 강화군 강화평화전망대에서 실향민 가족들과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일대를 바라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이산가족의 날'(10월 4일)을 하루 앞두고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교류를 북한에 제안했다. 지난 7년간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중단된 가운데 북한이 이산가족 생사 확인 요청에 호응할지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이날 인천 강화평화전망대에서 실향민들을 만나 "남북 이산가족들이 서로 생사 확인이라도 하고, 하다못해 편지라도 주고받게 해 주는 것이 남북 모두에 있어 정치의 책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며 "북측에도 인도적 차원에서 (이런 조치를) 고려해 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전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메시지는 지난달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교류(Exchange)·관계 정상화(Normalization)·비핵화(Denuclearization)'라는 'END 이니셔티브'를 선보인 뒤 나온 구체적인 첫 교류 제안이다.

북한이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론'으로 규정하면서 당장의 대면 교류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지만, 인도주의적 명분이 큰 만큼 북한과의 대화를 이어가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대통령의 고민이 묻어나는 발언이라는 분석이다. 남북 대화 단절 국면을 고려할 때 이산가족 대면 행사가 당장 어려운 상황에서 생사 확인이라는 '현실적 대안'을 제시한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산가족 상봉은 '휴전협정' 제3조 제59항에 기록된 '실향민 간 귀향협조위원회'가 남북 이산가족 문제를 '인도적 차원'에서 해결하기로 한 이후 첫 접촉이 시작됐다. 남북 관계에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상봉 행사가 잇따라 중단되기도 했지만, 2018년 8월 이후로 7년째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중단되면서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첫 공식 상봉 행사는 1985년 9월 진행됐지만 단발성으로 끝나고, 1990년대에 교류를 재개하다가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으로 상봉 정례화를 합의했다.

이후 금강산에서 해마다 약 2~3회 간헐적으로 상봉 행사를 진행하다가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으로 상봉이 중단됐다. 이후 2010년 천안함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완전히 중단됐다가, 6년 만인 2015년 재개됐다. 그러다 2018년 8월 제21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생사 확인조차 논의되지 않고 있다.

북한의 단기적 호응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해 말부터 금강산 관광지구 내 이산가족 상봉 장소로 지정됐던 '이산가족면회소'마저 철거했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금정산챌린지
wof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

실시간 핫뉴스

FUN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