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5명 이상 “북한도 하나의 국가”

입력 : 2025-10-06 10:04:33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조사
통일 지지층 65% ‘北 국가성’ 인정

지난달 22일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남측 대성동 마을 태극기와 북측 기정동 마을 인공기가 펄럭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2일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남측 대성동 마을 태극기와 북측 기정동 마을 인공기가 펄럭이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5명 이상은 북한도 하나의 국가라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6일 나왔다.

이날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연구원)의 ‘2025 통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도 하나의 국가’라는 의견에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54.5%로 가장 높았다. 반면 ‘반대한다’는 답변은 14.3%에 그쳤으며, ‘반반 혹은 보통이다’는 31.1%를 기록했다.

연구원은 2007년부터 매년 통일, 북한, 대북정책, 주변국 등에 대한 국민 의식을 조사해오고 있다. 2013년 조사부터는 북한을 하나의 국가로 보는지를 설문 문항에 포함했다.

북한도 하나의 국가라는 데 찬성하는 비율은 매년 40%대 후반부터 60%대 중반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해 왔다. 이는 대체로 국민의 절반가량은 꾸준히 북한을 국가로 인정해 왔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러한 가운데 찬성 비율이 2023년 49.9%, 2024년 52.1%에 이어 올해에는 54.5%로 집계되는 등 소폭이지만 계속해서 상승해왔다.

특히 대북정책 목표로 남북통일을 지지하는 층에서도 북한의 국가성을 인정하는 비율이 지난해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우리 정부가 대북정책 목표로 무엇을 가장 중요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남북통일이 13.8%로 집계됐다.

이 외에 ‘남북 평화적 공존 및 한반도 평화정착’ 61.3%, ‘북한의 개혁개방과 남북 경제공동체 통합’ 24.6% 등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장용석 객원연구원은 “북한이라는 정치적 실체를 인정하는 것이 장기적 과정으로서 통일까지 가는 데도 불가피하다는 생각을 했을 수 있다”며 “현 정부 지지층의 정치적 결집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우리 헌법은 대한민국의 영토를 북한까지 포함하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로 명시하고 있다. 1991년 체결된 남북기본합의서는 남북관계를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관계’로 규정했다.

그러나 북한은 2023년 말 노동당 전원회의부터 남북 관계를 동족이 아닌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고 통일은 성사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재명 정부 일각에서 남북이 현실적으로 두 국가로 존재하는 상황을 인정해야 한다며 ‘평화적 두 국가론’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보수 진영 내에서는 이를 두고 영구분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해당 조사는 연구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7월 21일부터 8월 17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12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8%포인트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금정산챌린지
wof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

실시간 핫뉴스

FUN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