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국제해사기구(IMO) 특별 회기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 조치 채택이 1년 미뤄진 데 대해 국내 대표 선사인 HMM 연구개발(R&D) 팀장은 불확실성이 더 커졌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HMM 김영선 R&D팀장은 23일 제19회 세계해양포럼(WOF) 해운항만 세션 발제에서 “2028년부터 탄소세를 내는 데 대해 찬성하든 반대하든 선사들이 원한 것은 규제 불확실성이 빨리 해소되는 것이었는데 1년 미뤄지면서 그 불확실성이 더 커졌다”고 지적했다.
김 팀장은 현재 IMO가 세운 탄소세 부과 계산식에 따르면 HMM은 2028년 1500억 원, 2035년 1조 원의 탄소세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이런 부담에도 불구하고,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0’에 맞춰야 하는 목표는 국제적 기준이므로 예정된 계획을 차근차근 이행하면서 단계적으로 탄소 집중도를 낮춰야 업계에도 부담이 덜하다는 것이 김 팀장의 설명이다.
한종길 성결대 글로벌물류학과 교수는 일반 기업들이 위기 상황에 대비해 업무 연속성이 흐트러지지 않고 신속히 복구하도록 미리 계획하는 BCP(업무연속성계획) 관점에서 요즘 관심이 높아진 북극항로에 대한 대비도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변하는 기상과 유빙 등으로 인한 항로 폐쇄, 정비·보급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신속한 복구의 어려움, 러시아 영해 통과에 따른 정치외교적 제약, 불안정한 통신·추적 시스템 등의 리스크를 정확히 파악하고, 항로가 차단될 경우 72시간 내 대체 항로를 가동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박 안전 관리에 대한 특별 교육, 운항 지연 발생 시 신속한 고객 안내 등의 조치도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송상근 부산항만공사(BPA) 사장은 이 세션 기조연설에서 부산항이 향후 여러 항만 이해 관계자들의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실시간 공유하는 연결 허브 역할을 할 것이라며, 그 솔루션이라 할 수 있는 ‘체인 포털’을 소개했다. 송 사장은 “차량 반출입 예약 시스템(VBS), 환적 지원 시스템(TSS), 전자인수도증(e-SLIP), 환적모니터링시스템(PORT-i)으로 이뤄진 체인 포털이 세계은행(WB)으로부터 우수 사례로 선정됐다”며 “BPA는 글로벌 항만 데이터 협력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세계 10대 항만이 추진하는 ‘기항 최적화 TF’에서 활동 중인데, 이 프로그램은 내년 3월 IMO 소개, 4월 시범 적용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후에 이어진 크루즈세션에서는 국적 크루즈선 건조 목소리가 컸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황진회 연구위원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시장에 비해 아시아 시장의 성장이 더디긴 하지만 계속 커지고 있지만 국내에는 국적 크루즈선이 단 한 척도 없다”며 “국적 크루즈선 건조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팬스타그룹 장우석 여객영업사업부 이사도 올해 4월 취항한 미라클호 운항 경험을 설명하며 제대로 된 국적 크루즈선을 지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장 이사는 “미라클호로 월 1회 3박 4일 일정 크루즈 운항을 하고 있는데, 당장 수익이 나지는 않지만 향후 전용 크루즈선이 국내에 안착할 수 있는 시장을 넓히는 자양분이라고 생각한다”며 “한일여객선 승객 중 팬데믹 이전 10% 초반 수준이던 외국인 비율이 올해 거의 50%가량이 됐으며 일본을 제외한 외국인이 절반 이상이라는 점을 봤을 때 서구 여행객들에게도 한국과 일본이 하나의 크루즈 패키지 여행지로 인식돼 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토론에 나선 청쥐에하오 중국 상하이해사대 교수는 “아시아 크루즈 승객의 최대 비중(35%)을 차지하는 중국 본토 관광객들도 평균 5일 정도로 짧은 기간을 선호하고, 평균 연령도 47세 정도로 젊다”며 “한국과 일본이 중국과 협력해 다양한 크루즈 기항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