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복지원 조사 결과-2] 반항하는 수용인 약물 투여, 정신까지 빼앗았다

입력 : 2022-08-24 11:33:21 수정 : 2022-08-24 19:22:12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형제복지원 부랑아 단속 차량에서 내리고 있는 아동들. 부산일보DB 형제복지원 부랑아 단속 차량에서 내리고 있는 아동들. 부산일보DB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24일 발표한 '부산 형제복지원 인권침해 사건' 조사 결과를 보면 지방 정부의 무관심과 방관 속에 수용자들의 인권이 철저하게 무너졌음이 다시 한번 확인된다. 이번 조사를 통한 형제복지원 인권침해 사실은 △아동 강제수용 △철저한 외부 차단과 반인권적 통제 △아동 반감금 △비인도적인 진료 △약물을 통한 육체적․정신적 약탈'로 요약된다.


■아동 반강제 입소·가혹행위 일상화

먼저 형제복지원은 수많은 아동을 반강제로 입소시키면서도 제대로 된 아동수용 절차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 형제복지원은 현재의 아동보호시설격인 형제보육원과 형제육아원도 함께 운영했으며 형제보육원, 형제육아원, 형제원, 형제복지원에 이르는 연계 수용 구조를 만들었다. 1974년부터 1986년까지의 '형제복지원 요보호자수용의뢰철' 자료에 의하면, 아동 시설수용 전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연고자 확인과 아동 개별상담 등의 절차가 부실하게 이뤄졌다. 아동에 대한 철저한 조사 없이 마구잡이로 수용했고, 추후 수용 아동에 대한 관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형제보육원, 형제육아원, 형제원, 형제복지원에 이르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인 '아동카드 기록'은 특정한 시점에 임의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아동의 진술에만 의존해 연고자 인적사항을 확인하거나 이름이 잘못 기재되는 등 신상기록카드 작성과 연고자 확인 절차가 허술하게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형제복지원은 복지시설을 표방하면서도 복종을 강요하는 반감금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와 수용자를 철저하게 차단했다. 이 과정에서 구타와 가혹행위 성폭력도 비일비재하게 발생했다. 진실·화해위원회 조사 결과 형제복지원은 군대식 통제와 반감금 시스템을 기반으로 수용자들을 외부와 철저히 분리시켰으며, 가족에게 편지 쓸 기회조차 주지않았다. 이에 대해 한 형제복지원 피해자는 "소대장이 수용자들에게 평생 형제복지원에 있을 수도 있으니 어떠한 의사표시나 항의를 하지 말고 빨리 적응하라고 충고한 적도 있다"고 진술하기도 했다. 형제복지원은 특히 같은 수용자들 사이에 직위를 주는 등 수직적인 계층 관계를 만들어 폭력과 인권침해가 가능한 구조를 설계했다. 형제복지원 진실규명대상자 166명(남성 153명, 여성 13명) 중 성폭력을 당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여성은 4명(30.8%)으로 조사됐다. 이어 남녀를 불문하고 진실규명대상자 80% 이상이 구타와 가혹행위를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 권리·의료 지원도 박탈

형제복지원 측은 헌법과 교육법에 따라 의무교육으로 규정된 초등교육의 기회마저 박탈했다. 진실·화해위원회가 확인한 형제육아원 수용자 199명 중 63명은 의무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전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나머지는 학교에 다닌 적이 있는 것처럼 기재돼 있으나, 이 내용은 형제육아원 아동카드나 수용자명부의 입소 사유처럼 임의로 기재돼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형제복지원 측 자료나 신청인의 진술을 토대로 당시 부산 용당국민학교에 취학한 내용이 있는 79명에 대해 자료조사를 해본 결과, 실제로 용당국민학교를 다닌 것으로 확인된 사람은 41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외에도 형제복지원은 수용자들 중 일부를 신축 중인 다른 시설로 보내는 형태를 취해 노동력을 이용하고 임금을 주지 않는 등 노동력을 착취하기도 했다.

비인도적인 진료 실태와 약물을 통한 육체적, 정신적 약탈 행위도 드러났다. 비의료인에 의한 임의적 진료가 만연했고, 산부인과 전문의인 촉탁의가 정신질환에 대해 940건이나 진료하는 등 산부인과와 관련 없는 모든 질병에 대해 진료와 처방까지 한 것으로 조사됐다. 형제복지원 회계 자료에 따르면 1986년도에 지출된 ‘정신환자시약비’는 총 1267만 6320원으로 1015만 원인 ‘일반환자시약비’보다 많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형제복지원 측이 반항하는 수용자들을 강압과 폭력으로 해결할 수 없을 때 임의적으로 정신 약물을 투여한 뒤 정신병동으로 전원한 근거 자료로 꼽힌다.

이 같은 인권침해 사건은 관리감독 권한이 있는 부산시와 관할 구청의 묵인 속에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시 북구청은 1986년 '형제복지원에 대한 지도와 감독을 했다'고 밝혔으나, 당시까지 형제복지원 내부에서 발생한 가혹행위와 관련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다. 한 형제복지원 피해자는 조사 진술에서 "종종 공무원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형제복지원에 방문했는데, 박인근 원장이 안내하는 대로 몇 군데 대충 둘러보고 돌아가는 정도였으며, 소대를 확인하거나 수용자들을 직접 대면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