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여야가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해 본격적인 채비에 나섰다. 다만 지역 정치권에서는 선거가 9개월가량 남은 까닭에 이례적으로 이른 움직임이라는 평가를 내놓는다. 이는 이재명 정부 1년 만에 치러지는 선거인 만큼 양측의 긴장감이 드러난 대목으로 풀이된다.
지난 7월 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에 취임한 정동만(부산 기장) 의원은 25일 2차 주요 당직 인선을 발표하고 정동만 체제의 진용 구축을 마무리한다. 또한 정 의원은 이날 당직 발표 외에도 해양항만특위, 가덕신공항추진특위 등 지역 주요 현안과 관련한 특위들도 줄줄이 띄운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와 관련해 각 당협에 전권을 주고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한 동시에 시당 주최 행사에 낮은 참석률을 보이는 일부 당협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공천권을 행사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기강잡기에 나섰다는 후문도 들려온다. 결국 일련의 상황이 본격적인 선거모드 전환으로 해석된다.
이에 앞서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은 지난 22일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를 띄우며 지방선거 대비를 위한 실무적인 움직임에 착수했다. 현직 광역·기초의원들의 그간 의정활동을 평가하고 이들의 역할과 당 기여도 등에 대한 정성·정량평가를 내려 내년 지방선거 공천관리위원회에 전달해 공천 심사에 반영한다는 구상이다.
이처럼 각 부산시당이 내년 6월 3일 있는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다소 이례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통상 선거를 이끌 각 여야 수장이 확정된 이후 공천 방향성의 윤곽이 드러난 이후 선거전이 본격화돼 왔기 때문이다.
이에 지역 정가는 내년 지방선거가 지난 6월 있었던 대통령 선거에서 정확하게 1년 후에 치러지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불과 대선 1년 만에 치러지는 전국 단위 선거인 만큼 ‘이풍’(이재명 바람)이 강하게 불 것이라는 게 정치권 중론이다. 이에 그간 다른 지역에 비해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분류돼 온 부산도 내년 지방선거에서 만큼은 결과를 속단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지역 여권은 지난 2018년 기초단체장 16석 가운데 13석을 가져가며 압승했던 당시를 재현하겠다는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는 반면 부산 국민의힘은 정권 견제론에 더해 2022년 지방선거에서 부산시장과 기초단체장 싹쓸이에 성공했던 기세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선거를 280여 일 앞두고 있는 현재 부산·울산·경남(PK)에서 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율이 혼전 양상을 거듭하고 있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매주 실시하는 정례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지난달 28일에서 이달 1일까지 진행된 7월 5주 차 조사(전국 만 18세 이상 2520명,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0%포인트(P)) 결과, 이 대통령은 PK에서 62.2%의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34%로 집계된 부정 평가 응답과 비교하면 상당한 격차다.
그러나 지난 4~8일 진행된 8월 1주 차 조사(2506명 대상,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0%P)에서 이 대통령은 PK 지지율 44.8%를 기록, 부정 평가는 47.7%였다. 이어 일주일만인 지난 2주 차(11~14일, 2003명 대상, 표본오차 95% 신뢰 수준에서 ±2.2%P) 조사에서는 긍정 평가가 45.6%로 소폭 상승한 사이 부정 응답은 51.7%로 늘었다.
한편, 조사는 모두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을 통해 이뤄졌으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