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방송된 MBC '서프라이즈'에서는 '방관자 효과'라는 말이 생겨나게된 제노비스 살인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그려졌다.
1964년 미국에서 끔찍한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는 미국 뉴욕에 살던 28세의 여성 제노비스였다. 일을 마치고 귀가하던 그녀는 한 남자의 겁탈에 의해 흉기에 찔려 사망했다.
유력지 뉴욕 타임지에 해당 사건이 보도되자 사람들은 큰 충격에 빠졌다. 그 이유는 범행 장소가 뉴욕 번화가인 퀸즈 지역으로, 당시 도와달라는 비명소리에 인근 주택에서 이 사건을 목격한 사람이 38이나 됐음에도 30여분의 시간동안 아무도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신고하지 않았던 이유가 '자신이 아닌 남들이 도와줄 것'이라고 장담했다는 것. 이 사건은 세계적으로 이슈가 됐고, 영감을 받은 학자들은 목격자가 많을수록 돕지 않는다는 '방관자 효과'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그러던 2016년 제노비스 사건이 왜곡보도라는 충격적인 주장이 제기됐다. 그런 주장을 펼친 사람은 제노비스의 친동생이었다.
살해 당시 16살이었던 그는 충격에서 벗어나고자 해병대에 자원 입대했고, 베트남전에 참전했다. 다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어 생을 포기하려 했던 그 때, 목숨을 걸고 그를 구하러 온 전우 덕에 살아날 수 있었다.
그 사건은 누나의 죽음에 의문을 가지는 계기가 됐다. 그리고 이에 대해 10년 간 백방으로 조사한 결과 당시 보도가 왜곡보도라는 것을 알아냈다.
그에 따르면 목격자가 38명이라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었고 6명에 불과했다고. 또 신고가 되지 않았다는 보도내용, 숨을 거둘 때까지 혼자였다는 것까지 모두 왜곡이라고 말했다. 또 이 과정에서 뉴욕 경찰이 뉴욕 타임스의 기자와 모종의 거래를 했다고 덧붙였다.
그의 주장이 맞다면 목격자는 왜 말을 하지 않았을까. 그 이유는 제노비스에 대한 미안함이었다. 당시 주민들에게 쏟아진 비난은 거셌고, 그에 대한 두려움과 제노비스에 대한 미안함에 용기를 내지 못했다고.
방관자 효과의 모티브가 된 제노비스 사건. 그러나 52년 만에 진실은 대중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왜곡 보도였고, 친동생의 진실을 밝혀내는 과정은 영화화됐다고 한다.
사진='서프라이즈' 방송 캡처
김두연 기자 myajk213@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