뎅기열, 국내 유입률 3배 이상 높아져…"모기에 물리지 않는게 최선"

입력 : 2016-07-27 12:00: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올해 뎅기열 환자의 국내 유입이 예년에 비해 3배이상 높을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질병관리본부는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개발한 뎅기열 환자 수 예측 모형에 따라 7월에 80명, 8월에 120명의 뎅기열 환자가 유입될 것으로전망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2012∼2015년의 7∼8월 평균 뎅기열 환자 수(64.3명)의 3.1배에 달하는 수치다.올 한 해 동안에는 뎅기열 환자가 500명 수준(최저 300명∼최대 700명)까지 유입될 수 있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예측했다.
 
뎅기열 환자 수 500명은 2012∼2015년 평균 환자 수(202.2명)의 2.4배다.이는 엘니뇨의 영향 등으로 동남아시아 국가의 뎅기열 발생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 관계자는 "방한 동남아 여행객이 늘면서 국내 뎅기열 유입도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뎅기열은 주로 적도를 기준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 국가에서 발생하는 급성열성질환이다.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등이 발생하고 75% 정도는 걸려도 아예 증상이 없지만 중증 뎅기열에 걸리면 심한 복통, 계속된 구토, 잇몸 출혈 등을 겪다가 각종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뎅기열은 이집트숲모기와 흰줄숲모기 등 모기로 전파되기 때문에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고의 예방법이다. 이 중 흰줄숲모기는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다.

이동훈 기자 ldh@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