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청년들이 수도권 청년들 보다 직업 구하기가 점점 힘들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예산정책처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15세∼29세 청년 고용률은 비수도권이 39.6%로 수도권(45.3%)보다 5.7%포인트 낮았다.
청년층 고용률은 통상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낮은 상태였으나 최근 들어 서서히 격차가 벌어지는 추세다.
올해 1분기엔 비수도권 청년층 고용률이 38.7%였으나 수도권은 5.2%포인트 높은 43.9%였고 지난해 4분기에도 비수도권은 39.5%, 수도권은 43.9%로 수도권이 4.4%포인트 높았다.
올 2분기 서울의 청년 고용률이 45.9%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인천 45.1%, 경기 44.8%로 16개 시도 가운데 청년 고용률 상위 3곳을 모두 수도권이 차지했다.
반면 전북의 청년 고용률이 34.3%로 가장 낮았고 전남 34.7%, 광주 35.0%, 강원 36.0% 순으로 고용률 최하위권을 형성했다.
비수도권 청년층 고용률이 낮은 것은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청년이 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적기 때문이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청년 고용률을 높이려면 교육, 양육, 간병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을 육성하고 여성복지, 교육 등 사회시스템 전반을 개선하는 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훈 기자 ldh@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