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선 실세'로 지목된 최순실 씨가 31일 오후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 특별수사본부에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현 정권의 비선 실세로 국정을 농단한 의혹을 받는 최순실(60·최서원으로 개명) 씨가 31일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했다.
최순실 씨를 둘러싼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는 이날 오후 3시 최 씨를 소환했다. 최 씨가 전날 오전 영국에서 귀국한 지 하루 만이다.
입국 하루 지나 검찰 출석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 등
혐의 10여 개도 대부분 부인
檢, 안종범·정호성 출국 금지
최 씨는 변호인과 함께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해 "국민 여러분 용서해주십시오. 죄송합니다. 죽을죄를 지었습니다"라고 말하고 조사실로 들어갔다.
검찰은 최 씨를 상대로 △미르·K스포츠 재단 사유화 의혹 △청와대 문건 유출과 '국정 농단' 의혹 △딸 정유라(20) 씨의 이화여대 부정 입학 의혹 등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최 씨는 청와대를 내세워 대기업들로부터 미르·K스포츠재단에 800억 원에 가까운 기금을 모금하고, 이 기금을 국내와 독일의 개인 유령회사를 통해 빼돌려 유용하려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성한 전 미르재단 사무총장, 정현식 전 K스포츠재단 사무총장, 최 씨의 최측근 고영태(40) 씨 등이 최 씨가 두 재단의 설립과 운영에 깊숙이 관여한 정황을 폭로했다.
검찰은 최 씨가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문과 외교·안보 기밀 문서, 국무회의 자료 등 청와대 문건을 사전에 건네받아 열람하고 대규모 국책사업 등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국정 농단' 의혹도 추궁한다. 검찰이 확보한 태블릿PC에는 대통령 연설문 등 200여 개 파일이 저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도 일부 연설문 작성에 최 씨 도움을 받았다고 시인했다.
또 최 씨의 딸 정유라 씨가 대학입시 원서 접수 마감 후 획득한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인정받아 이화여대 체육특기생으로 입학했고, 이 과정에서 최 씨가 최경희 전 총장 등에게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는지 여부도 수사 대상이다.
제기된 의혹들이 사실로 확인된다면 최 씨가 받는 혐의는 횡령과 탈세,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 공무상 비밀누설, 업무방해, 외국환거래법 위반 등 10여 개 안팎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최 씨는 혐의 대부분을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씨는 귀국 이후 변호인을 통해 "검찰 수사에 적극 순응하겠다"고 밝혔으나 문제의 태블릿PC 이용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검찰은 관련자 진술, 계좌 추적과 청와대 압수수색, 태블릿PC 디지털 분석 증거 등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 씨를 강도 높게 추궁할 전망이다.
검찰은 31일 전날 사표가 수리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도 출국 금지하고 조만간 소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검찰은 특별수사본부에 중앙지검 3차장 산하 첨단범죄수사1부를 추가로 투입키로 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