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 환자가 최근 40대 이하의 연령층에서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가장 큰 원인은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기기 사용 시 잘못된 자세를 꼽을 수 있다.
추간판탈출증이라고도 부르는 허리디스크의 주된 증상은 요통 및 방사통(다리가 당기면서 저리는 증상)이다. 특히 누워서 다리를 올리는 자세나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또 허리, 엉치, 다리,발의 순서로 저리는 증상과 묵직한 요통, 때로는 배변 시 심한 통증을 보이기도 한다.
허리디스크는 보통 누워서 쉬면 통증이 줄어들고 활동하면 증상이 다시 나타난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쉬면 괜찮아 진다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만성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강북연세사랑병원 최일헌 부원장은 “허리디스크는 안정을 취하고 약물요법, 물리치료를 하면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보다 심각한 디스크 질환일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때는 수술로 치료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 부원장은 “내시경과 수술기구가 각각의 구멍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술이 시술 시 움직임에 제한이 없고, 수술 시야 확보가 넓고 선명해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고 했다. 양방향 척추 내시경술은 전신 마취 없이 진행하기 때문에 기존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한 수술로 출혈의 위험, 감염 위험이 적고 근육 손상이 적다. 절개수술과 동일하게 허리디스크, 협착증, 나사못고정술 등이 가능하고 현미경 수술에 비해 신경노출이 적어 유착이 잘 생기지 않는다.
최 부원장은 “수술 당일 2시간이 지나면 서거나 걸을 수가 있고 회복이 빨라 1-2일이면 퇴원이 가능하다”며 “직장 생활 때문에 휴가를 내기 어렵지만 허리디스크로 생활이 힘든 젊은 환자들에게도 반응이 좋은 수술 치료”라고 덧붙였다.
김상록 기자 srkim@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