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3'는 혈액 순환, 염증성 질환 완화, 뇌 기능 향상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우리 몸은 오메가3를 스스로 생성할 수 없어 반드시 먹어서 보충해야 하는데 하루섭취량이 워낙 많아 영양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오메가3 영양제를 구입할 때는 기본적으로 함량이 하루섭취량을 충족하는지 봐야 한다. 영국 영양 기금 등에서 권장하는 오메가3 하루섭취량은 1000~1800mg이다. 오메가3 함량의 함량은 오메가3의 EPA 성분과 DHA의 합을 따져보면 된다. EPA와 DHA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는 잡기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형태까지 체크하면 더욱 흡수율 높은 제품을 고를 수 있다. 오메가3 형태는 크게 TG, EE, rTG 등으로 나뉘는데, 각각의 형태마다 분자구조가 달라 흡수율에 차이가 생긴다.
TG형은 생선에서 짜낸 기름 그 자체로 자연 상태의 오메가3 형태다. 지방산의 대사를 돕는 글리세롤이 분자 구조에 포함돼 있어 흡수율은 좋지만 고도의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아 불순물이 많다.
EE형은 TG형의 분자 구조에서 글리세롤을 에탄올(알코올)로 대체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형태다. 불순물이 적어 깨끗하지만 글리세롤이 없어 흡수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알티지(rTG)형은 TG형과 EE형의 단점을 보완한 형태로, 천연 오메가3의 분자 구조를 그대로 복원하면서 불순물은 최소화했다. 흡수율과 생체이용률이 우수할 뿐 아니라 순도도 월등하다. 따라서 오메가3 보충제를 고를 땐 알티지(rTG)형 제품을 선택해야 체내 흡수가 잘 되는 고순도의 오메가3를 섭취할 수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대학 존 다이어버그(Jorn Dyerberg) 박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알티지(rTG)의 생체이용률은 무려 124%에 이르며 TG는 100%, EE는 7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오메가3는 기름 성분으로, 열이나 산소, 빛 등에 의해 쉽게 산패되는 특성을 지닌 만큼 제품을 오랫동안 먹으려면 산패 위험을 최소화한 제품인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병 포장보다는 개별 PTP 포장된 것이 좋다. 병 포장 제품은 뚜껑을 자주 여닫아 오메가3가 공기에 자주 노출되며, 캡슐끼리 부딪힐 때 발생하는 열도 만만치 않다. 반면 개별 PTP 포장 제품은 공기를 완벽히 차단해주고 캡슐이 한 알씩 따로 포장돼 있어 산패 가능성이 낮고 위생적이다.
알티지(rTG) 오메가3 브랜드 '뉴트리코어' 관계자는 "오메가3 영양제는 함량, 형태, 포장법 등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므로 오메가3 하루섭취량을 제대로 채우고 효능까지 극대화하려면 제품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며 "오메가3 추출 시 저온 초임계 추출법을 사용한 제품은 과도한 열이나 화학 용매제를 모두 배제해 안전성까지 뛰어나다"고 말했다.
김상록 기자 sr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