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울주군에 이어 경남 산청·하동군 산불까지 진화되면서 열흘 만에 경남·울산 산불이 모두 꺼졌다. 당국은 피해 조사와 함께 피해 지원에 들어갔다.
30일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께 산청·하동 산불의 주불이 잡혔다. 울산 울주 산불은 이에 앞서 27일 오후 8시 40분께 잡혔으며, 두 지역 모두 현재 잔불 감시 체제로 돌아선 상태다.
산청·하동 산불은 지난 21일 오후 3시 25분께 시천면 신천리 일원에서 처음 발생했으며, 울주 산불은 하루 뒤인 22일 낮 12시 10분께 시작됐다. 두 지역 산불은 강풍과 건조한 기상 여건 속에 빠르게 확산했다. 산청·하동 산불은 발생 당일 3시간여 만에 ‘산불 3단계’가 발령돼 중앙정부와 경남도가 공동 대응에 나섰다.
산불을 잡기 위해 당국은 그야말로 총력전을 펼쳤다. 산청·하동의 경우 하루 최대 헬기 55대, 진화 인력 2452명, 진화 장비 249대가 투입되는 등 10일 간 공중·지상 가용 자원이 총동원됐다.
당국이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던 이유로 험한 산세와 기상 조건을 꼽는다. 지리산은 해발 고도가 높고, 넓은 면적에 깊은 계곡이 많다. 하루에도 바람 방향이 수시로 변하고 순간적인 강풍이 분다. 여기에 산에 두꺼운 활엽수 낙엽층이 있어 산불 진화에 속도가 붙질 않았다. 헬기로 많은 물을 투하했지만, 불이 낙엽층 아래에 있어 꺼진 산불이 다시 되살아 나는 일이 반복됐다.
울주 산불 역시 초속 10m 이상의 강풍이 불며 불씨가 되살아나는 일이 반복됐다. 여기에 송전탑이 헬기 접근을 어렵게 했다. 그나마 지난 27일 10mm가량 비가 오며 겨우 불길을 잡을 수 있었다.
주불이 잡히면서 당국은 피해 조사와 함께 피해자 지원에 돌입했다. 경남도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 중 피해가 컸던 산청군 시천·삼장면과 하동군 옥종면에 전액 도비로 1인당 30만 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산림 피해 복구 대책도 세웠다.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피해지 긴급 진단과 벌채를 실시하고 지자체 현장 조사와 관계 기관 합동 조사를 통한 복구 계획을 수립해, 피해 지역 특성에 맞는 연차별 조림 복원을 실시한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긴급 상황에서는 민간 헬기를 사전 허가 없이 즉각 투입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경남은 남부권 중심지이자 지리산과 직접 연결된 지역으로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이 절실하다.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