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 전남 시민사회가 국립한국해양대학교와 국립목포해양대학교를 통합하는 ‘1국 1해양대’ 추진에 힘을 보탰다. 해양 인재 양성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교육·연구 역량을 하나의 해양대로 결집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방분권균형발전부산시민연대, 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 지방분권전남연대 등 부산·전남 지역 14개 시민단체는 20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양 대학 통합 지지를 공식 선언했다.
이들은 “삼면이 바다인 한국은 해양 인재 양성이 국가적 과제지만, 두 국립해양대가 따로 운영되며 역량이 분산돼 있다”며 “통합을 통해 세계 수준의 해양 전문 인재 양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들은 양 대학의 통합을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닌 국가 전략으로 규정했다. 해운·물류, 조선, 수산, 해양법, 과학기술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연구 체계를 갖춰야 하고, 이를 위해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과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부산과 전남이 중심이 되는 남부권 연계 발전이 국가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재율 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 공동대표는 “해양강국 실현의 기본은 인적 인프라 확보”라며 “두 대학이 하나로 뭉쳐야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해양 인재의 산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대운 지방분권전남연대 공동대표도 “부산과 목포의 상생 협력이 해양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진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국립한국해양대와 국립목포해양대는 현재 교육부 글로컬대학30 사업 예비지정 대학으로 선정돼 있다. 두 대학은 ‘1국 1국립해양대’ 체제를 전제로 한 통합 모델을 제안했으며, 미래형 해양모빌리티, 친환경 선박, 해상풍력, 해양데이터를 특화 분야로 내세워 전국 유일의 해양 글로컬대학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다음 달 본지정에 최종 선정되면 향후 5년간 최대 1000억 원의 국비 지원과 함께 규제 혁신, 지자체 연계 투자도 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두 대학은 지난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해양강국 대한민국, 1국 1해양대 초광역 인재로 도약’을 주제로 공동 정책 포럼을 열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통합을 기반으로 해양산업 전반에 걸친 혁신 거점을 조성하고, 국가적 해양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며 국회와 정부의 협력을 요청했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