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지오넬라' 뭐길래…질본, 환자 발견된 인천 모텔 '폐쇄'

입력 : 2016-08-28 15:38:52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왼쪽)0.05% basic fuchsin으로 염색한 레지오넬라균 (1,000배) (오른쪽)해부현미경으로 관찰한 레지오넬라균 집락사진(100배)

인천시의 한 모텔에서 레지오넬라증 환자가 발생하고 해당 시설 내 여러 곳에서 허용범위 이상의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돼 보건당국이 사실상 폐쇄조치를 내렸다.
 
28일 질병관리본부는 지난달 25일 인천시 중구 항동 소재 한 모텔에 장기 투숙하던 A(47)씨가 레지오넬라증 환자로 신고됐다고 밝혔다.
 
레지오넬라증 환자 발생 자체가 드문 일은 아니지만, 건물 곳곳에서 균이 발견되면서 투숙객 입실 중지 조처를 한 것이다. 레지오넬라로 영업시설 전체를 폐쇄 조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레지오넬라는 대형시설이나 다중이용시설의 냉방기 냉각수, 목욕탕 등의 오염된 물에 존재하던 균이 에어컨, 샤워기, 호흡기 치료기기 등을 통해 비말 형태로 호흡기를 거쳐 감염된다. 권태, 두통, 근육통, 허약감, 고열,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마른기침, 복통, 설사 등이 흔히 동반되기도 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이 환자는 투숙 후 몸살 증상과 기침, 가래가 시작되고 호흡곤란 등 폐렴 증상이 발생해 25일부터 인천의 한 의료기관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고 8일 퇴원했다.
 
질병관리본부는 해당 업소의 1~2차 환경 검사에서 물 저장 탱크, 수도꼭지, 샤워기, 각층 객실 냉·온수 등에서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해당 업소의 급수 시스템을 점검·소독 조치 하도록 했고, 소독 후 재검사에서 레지오넬라균 허용범위 미만으로 확인될 때까지 해당업소 투숙객 입실을 중지키로 했다.
 
현재까지 레지오넬라증이 사람 간 전파된다는 보고는 없다. 주로 면역이 약한 노약자들이 취약하다. 냉방기기를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고 냉각수가 아닌 냉매를 이용하는 가정용 냉방기기를 통한 감염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올들어 25일까지 레지오넬라증 환자는 75명 발생해 작년 전체 환자수(45명)를 이미 뛰어넘었다. 2011년 28명, 2012년 25명, 2013년 21명, 2014년 30명 등 연간 30명 안팎으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짜는 “레지오넬라증 발생 예방을 위해 일선 지자체에 대형시설, 병원 및 요양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의 냉각수 및 수계시설 관리 뿐 아니라 숙박업소의 정기적인 급수시스템 점검이나 소독을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박홍규 기자 issue@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