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에서 수습된 휴대전화와 블랙박스 등 전자기기의 데이터가 민간 전문기관에 의해 복원되는 방안이 추진된다.
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창준 세월호선체조사위원장은 "휴대전화와 블랙박스 등은 데이터 복원이 급하다는 것이 유가족들의 뜻"이라며 "전날 오후 해수부와 회의 때 이런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세월호 육상 거치 이후 전자기기 데이터 복원 등을 검토한다는 방침이었고, 지난 2일 발견된 휴대전화 1점도 밀폐보관만 하고 있다.
전날 해수부는 데이터 복원에 대해 "개인 물품이어서 유가족이 복원 여부를 결정해야 하고 선체조사위가 방침을 정해줘야 한다"며 "그 전까지는 복원 가능성에 대비해 전문업체를 통해 보존 처리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은 "대전화의 내용이 아닌 외양만 보고 주인이 누구인지 알기 매우 어렵다"며 "일단 급한 대로 데이터 복원을 시도하는 것이 상식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세월호 유가족들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복원을 맡기는데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민간 전문 업체에 의뢰될 예정이다.
3년간 바닷속에 잠겨 있었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이 높지는 않아도 최대한 할 수 있는데까지 시도해봐야한다는 것이 대체적인 여론이다.
한편 세월호에서 수습된 유류품은 100점으로 늘었다. 해수부는 이들 물품을 저장팩에 넣어 목포 신항 철재부두에 마련된 임시 유류품 보관소에 보관했다가 세월호의 육상거치가 완료되면 세척작업을 거쳐 유가족들에게 인도한다는 방침이다.
김상혁 기자 sunny10@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