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트코와 루이비통 등 유명 외국계 기업들이 한국에서 영업을 하면서 천문학적 수익을 올리면서도 기부 등 상생활동은 거의 외면하고 있다. 기부를 강제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 대기업들이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많은 기부를 하고 사회적인 봉사활동을 한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기업 윤리는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다.
이들 유명 외국계 기업으로선 한국시장은 ‘봉’이나 마찬가지며 오로지 수익에만 열을 올리고 있는 셈이다.
19일 코스트코의 한국법인인 코스트코코리가 공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회계연도(2023년 9월∼2024년 8월) 영업이익이 2186억원으로 지난 회계연도(1887억원)보다 15.8% 증가했다.
매출은 6조 678억원에서 6조 5301억원으로 7.6%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417억원에서 2240억원으로 58.1% 급증했다. 코스트코는 홈플러스보다 매장수는 적지만 대형마트 업계 2위인 홈플러스(2023년 6조 9315억원)를 바짝 추격하는 모양새다.
코스트코는 이같은 실적에 미국 본사에 대한 고배당 기조를 유지했다.
이번 회계연도 코스트코코리아의 배당 예정액은 1500억원으로, 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을 뜻하는 배당 성향은 67.0%에 이른다.
코스트코코리아는 지난 회계연도에는 당기순이익을 뛰어넘는 2000억원(배당 성향 141.2%)의 배당금을 지급해 논란이 된 바 있다.
그러나 사회 기여도는 여전히 미미하다. 이번 회계연도 코스트코코리아 기부액은 12억 2000만원으로 지난 회계연도(11억8000만원)와 비슷하다. 국내 기업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조하며 사회 기여도를 높여가는 추세와 반대로 가는 셈이다.
천문학적인 배당 수익에 비해 한국 사회와의 상생 노력이 크게 부족하다는 지적이 줄곧 제기돼왔으나 전혀 달라지지 않고 있다.
세계적인 명품업체도 인색하기는 마찬가지다.
프랑스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는 지난해 한국법인에서 챙겨간 배당금이 1450억원으로 전년(750억원)보다 배로 늘었지만, 기부액은 5억 6117만원에서 5억 5319만원으로 되레 줄었다.
지난해 한국에서 1조원대의 매출을 올린 또 다른 프랑스 브랜드 디올도 2426억원의 배당금을 챙겼으나 국내 기부금은 전년 대비 300만원 증가한 1920만원에 그쳤다.
루이비통은 2022년 배당금으로 2800억원을 받아 갔고 지난해엔 중간배당으로 1000억원을 챙겼지만 2년 내내 한 푼도 기부하지 않았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다른 업종과 달리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 유통업체의 경우 유난히 사회 기여 활동에 인색한 모습을 보인다”며 “이익만 내면 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지역 사회와 상생하는 방안을 고민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