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총장과 부총장 출신 인사가 잇따라 이재명 정부의 교육 정책 핵심 보직에 발탁되면서 지역 교육계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두 사람 모두 국가거점국립대 집중 육성을 목표로 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을 이끌었던 만큼, 지역 최대 거점국립대인 부산대도 후광 효과를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3일 차정인 전 부산대 총장을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으로 지명했다. 1961년 경남 창원 출신인 차 전 총장은 마산고와 부산대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28회)에 합격했으며, 2006년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임용됐다. 이 대통령과는 사법연수원 동기다. 2020년 5월 부산대 총장에 취임한 그는 국가거점국립대 총장협의회장을 맡았다.
차 전 총장은 〈부산일보〉와의 통화에서 “대입 경쟁 완화와 사교육 의존도 축소,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백년지대계를 세우겠다. 학생·학부모·교사들의 고통을 생각하며 비상한 각오로 임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차 전 총장과 함께했던 홍창남 전 부산대 부총장도 지난달 국정기획위원회 사회2분과장에 위촉됐다. 교육·과학·통신 관련 부처를 총괄하는 사회2분과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국정 과제에 포함했다. 국정위는 14일 해단했지만, 홍 전 부총장은 앞으로도 교육 정책 전반에서 영향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역 교육계는 부산대 총장과 부총장 출신이 연이어 핵심 보직을 맡으며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