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중심역’ 국정과제에 부전역 복합환승센터 추진 급물살

입력 : 2025-08-14 18:24:26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부울경 30분 생활 플랫폼 전망
국정 반영으로 사업 타당성 확보
KTX 정차장 문제도 해결 기대
정부 지원으로 재원 마련 실마리

부산 부전역을 동남권의 중심역으로 격상하는 것이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부전역 복합환승센터 건립 사업에 탄력이 붙은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일보DB 부산 부전역을 동남권의 중심역으로 격상하는 것이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부전역 복합환승센터 건립 사업에 탄력이 붙은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일보DB

부산 부전역이 국정과제를 통해 부산·울산·경남 30분대 생활권의 중심 플랫폼으로 급부상할 전망이다. 부산시는 동남권 광역교통망의 허브가 될 복합환승센터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 사업 추진의 관건으로 꼽히는 KTX 정차장 설치 문제도 해결의 실마리를 기대한다.

14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부전역 복합환승센터의 타당성 조사와 기본 구상을 위한 용역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용역은 오는 10월께 시작해 1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지난 5월 2차 추경에서는 전체 예산 10억 원 중 4억 원을 우선 편성했다. 부전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은 전날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국정과제 중 ‘부전역을 동남권의 중심역으로 격상’을 구체화하는 단위 사업이다. 국정과제 반영을 계기로 정책 지원과 사업 타당성을 확보한 만큼 사업 추진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부산 지역 7대 공약 15대 추진 과제 가운데 ‘광역교통망 구축으로 부울경 30분대 생활권 시대를 열겠다’는 공약의 추진 과제로 부전역 항목을 넣었다. 시도 대선 과정부터 광역교통망 구축과 더불어 부전역 복합환승센터를 공약과 국정과제로 꾸준히 건의했다.

부전역 복합환승센터는 부산 부산진구 철도역 부전역 일대 7만7780㎡ 부지에 철도, 도시철도, 버스 등 환승시설과 상업·문화시설을 연계해 개발하는 사업으로, 약 1조 2000억 원을 투입하는 민자사업으로 추진된다. 내년 하반기에 관련 용역을 마치면 기본계획 수립과 실시협약 체결 등 사업시행자 지정을 거쳐 2030년 착공, 2034년 준공한다는 목표다.

시는 부전역을 복합환승센터로 만들어 철도역(동해선, 중앙선, 경전선)과 도시철도역(1·2호선)은 물론 광역전철(동해선, 부전-마산선)과 향후 건설 예정인 부산형 급행철도(BuTX)까지 연계하는 동남권 중심역으로 위상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부전역은 도심 중심에 있지만 고속열차가 서지 않으면서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다 2016년 광역전철 동해선 1단계 개통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청량리행 중앙선과 강릉행 동해선이 완전 개통하면서 올해 상반기 이용객이 전년보다 2.2배 늘었다.

복합환승센터를 추진하려면 일단 연내 결정될 제4차 복합환승센터 구축 기본계획(2026~2030)과 제5차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시행계획에 반영돼야 한다. 시는 지난 3월 신청에 이어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와 국회 교통위원회를 잇따라 방문해 협의도 마쳤다.

사업 추진의 관건은 경제성 확보다. 시는 2013년에도 부전역 복합환승센터 개발을 추진하다 무산된 적이 있다. 수요 확보를 위해서는 부전역에 KTX 고속열차 정차장이 필요하다고 봤는데, 관련 비용을 반영했더니 비용 대비 편익(B/C)이 0.3에 그쳤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시는 이번 국정과제화가 부전역에 KTX 정차장이 필요한 당위성을 확보하고, 정부가 관련 예산을 일부 지원하는 등 방식으로 재원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시 관계자는 “시는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부전역을 포함해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지만, 노선 단위 계획을 대상으로 한다는 방침 때문에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며 “국정과제가 된 만큼 정부도 부전역 위상 강화를 위한 방안을 검토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