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오뚜기 식품 이물질 발견...더 큰 문제는 '모르쇠, 무성의 대응'

입력 : 2016-05-30 17:21:13 수정 : 2016-05-30 17:39:42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지난 27일과 28일 연합뉴스TV는 이틀 연속으로 식품제조업체 (주)오뚜기가 생산한 라면에서 이물질이 발견되는 충격적인 일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27일 뉴스에는 봉지라면에서 벌레가, 28일 보도에는 컵라면에서 곰팡이가 나왔다고 전해졌다. 
 
오뚜기의 식품에서 이물질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4월 초 YTN은 유명 업체의 컵라면에서 심각한 이물질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해당 이물질은 푸른 곰팡이로 알려진 페니실리움으로, 이는 신체에 유해한 독소를 내뿜는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 업체 이름은 보도되지 않았지만 한 업계 관계자는 모든 컵라면을 구입한 후 뉴스 영상에서 등장한 해당 제품의 유통기한 인쇄 글씨체를 대조한 결과 오뚜기 제품이었다고 전했다. 그리고 오뚜기는 그제야 자사 제품임을 인정했다고 한다.
 
이물질이 발견된 오뚜기의 음식은 라면 뿐 아니다. 2000년대 중후반부터 오뚜기의 즉석밥에서 곰팡이가 발견됐다는 제보와 언론 보도는 꾸준히 있어왔다. 종류도 푸른 곰팡이에서 붉은 곰팡이까지 다양했다. 심지어는 유리로 포장된 딸기잼 제품에서도 곰팡이가 나왔다는 제보도 있었다.
 
이것만으로도 소비자의 신뢰가 흔들릴 수 있지만 더 큰 문제는 오뚜기의 무성의한 '모르쇠' 대응이다.
 
이번에 벌레를 발견한 소비자는 즉각 오뚜기에 항의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원하는 걸 말하라'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소비자는 "'10만원 선물권을 받든지, 아니면 우리가 어떻게 할 수가 없다'고 했다"며 통화 내용을 공개하기도 했다.
 
곰팡이가 핀 컵라면에 대한 대응도 시원찮았다. 해당 제품을 산 소비자의 항의에 오뚜기는 '다른 라면을 대신 보내겠다'는 답변만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오뚜기는 문제의 제품 회수는 물론, 이물질이 발견됐다는 신고가 접수되면 식약처에 3일 이내에 보고해야 하는 절차도 생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무성의 대응'은 과거 즉석밥에 대한 항의 때도 마찬가지였다.

지난 2008년 A씨는 3개 묶음으로 산 즉석밥 중 2개에 곰팡이가 가득 핀 것을 발견했다. 그는 오뚜기에 항의했지만 상담원은 "유통과정에서 포장지가 뜯겨 이상이 생길 수 있다"고 대수롭지 않게 대응했다.

 
이후로도 미지근한 대응이 이어지자 A씨는 오뚜기 고객센터와 제조공장 앞으로 제품을 찍은 사진과 게시한 글을 출력, 동봉해 등기 발송했다. 오뚜기는 그제서야 품질 관리부장을 통해 방문사과에 나섰다. 
 
당시 A씨는 "유통과정 같은 무책임한 답변보다 진심으로 소비자의 건강을 걱정하고 사과했다면 결과는 달랐을 것"이라는 씁쓸하게 방송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 오뚜기 주식·영업이익 하락...소비자 불신 겹친다면 반등 어려울 것
  
27일 최고 89만7천원까지 올랐던 오뚜기의 주식은 주말이 지난 30일 개장과 동시에 하락세를 타더니 4.23%p 하락한 85만9천원까지 떨어진 채로 장을 마감했다.
 
비록 하루의 주가로 판단하기는 이르지만, 이물질 보도가 나왔던 주말 이후 생긴 하락은 분명 의미심장한 부분이 있다.
 
이와 함께 오뚜기 2016년 1분기 실적은 창사 이래 최대 분기매출인 반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미엄 라면 돌풍으로 매출 상승이 이뤄졌으나, 고급 식자재사용에 원가율 상승으로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게 증권가의 설명이다.
 
식재료 같은 유형의 비용은 오르내림이 있고, 회사 자체적으로도 탄력적으로 운영할 여지가 있다. 하지만 소비자 신뢰 같은 무형의 가치는 한 번 떨어지면 반등 시키기가 대단히 어렵다.
 
만약 이같은 소비자의 불신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주가 하락에 반영될 여지가 있다면 앞으로 영업이익과 주가 반등은 소원해질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은 76개로 세계 최고다. 이처럼 대표적인 국민 식품인 라면의 안전과 위생이 지켜져야 하는 것은 생산 업체의 의무이자 책임이다.
 
이유야 어떻든 오뚜기는 끊이지 않는 이물질 사태에 대해 돈으로 무마하고 변명을 늘어놓기 보다는 진심을 담은 사죄와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을 먼저 해야할 것이다.
 
사진=연합뉴스TV 캡쳐, 온라인 커뮤니티

김상혁 기자 sunny10@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