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과 전자·IT 업종의 고용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는 탓에 취업 증가 폭이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7일 고용노동부는 ‘10월 노동시장 동향 조사’ 결과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 수는 1천26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만 2천명(2.4%) 증가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증가 폭은 2010년 9월(27만 2천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취업자 증가율은 업종별로 차이가 컸다. 증가율이 높은 업종들은 서비스업이 차지했다. 대표적인 저임금 업종인 숙박·음식업의 증가율이 12.0%,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 5.7%,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4% 순이었다. 공공행정·국방은 -1.8%로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모든 업종 중 임금이 가장 높은 금융보험업의 증가율도 0.1%로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전체 업종 중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은 증가율이 0.2%에 그쳤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은 6천명에 그쳐 8월(9천명), 9월(7천명)에 이어 석 달 연속 증가 폭이 1만명을 밑돌았다.
취업자 증가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0월(-7천700명) 이후 7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이는 조선업의 고용 감소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지난해 말까지 고용이 늘었지만 선박 수주 급감 등 경기 악화로 올해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더구나 6월 1만 2천명이었던 작년 동기 대비 취업자 감소 폭은 8월 2만 2천명, 9월 2만 4천명, 10월 2만 5천명으로 3분기 이후 크게 늘어 '실업대란'이 현실화되고 있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지난해 말 고용규모는 21만명에 달했으나, 올해 9월에는 18만 3천명까지 줄어 고용규모가 10% 이상 급감했다.
제조업 고용의 14.5%를 차지해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도 10월 취업자 수가 1만 5천명이나 감소했다. 2013년 9월 고용규모가 5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줄어 올해 9월 고용규모는 51만 8천명에 그쳤다.
철강 등 '1차 금속산업'은 중국의 저가 철강재 수출 등으로 2013년 하반기부터 고용이 크게 줄다가 지난해 중반 이후 안정되는 모습이다. 다만 고용 감소세는 이어져 10월에도 고용규모가 2천300명 감소했다.
다만 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매출이 늘어난 데다, 한류 영향으로 수출 호조를 보이는 식료품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만 2천명 늘어 25만 4천명에 달했다.
중국 내에서 한국 제품이 큰 인기를 끌면서 수출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화장품이 포함된 화학제품제조업도 취업자 수가 1만명 늘었다. 고용규모는 22만 9천명이다.
해운업 불황으로 수상운송업 취업자는 2013년 초부터 지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저가항공 활성화 등으로 항공운송업 취업자는 증가폭이 커지는 모습이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가 921만 6천명으로 25만 4천명(2.8%) 증가했다. 특히, 29인 이하 중소기업에서 21만 8천명 늘어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74.7%를 차지했다.
반면에 구조조정이 한창인 300인 이상 대기업은 343만 4천명으로 3만 8천명(1.1%) 늘어나는 데 그쳤다.
고용부 관계자는 "조선업 실업자 급증 등으로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며 "다만 저가항공 이용객 증가와 수출 호조 등으로 항공운송, 식품, 화학 등에서 고용이 늘어난 것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온라인이슈팀 4067park@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