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급지킴이’ 화재 피해…“추석 앞두고 하도급 대금 지급 중단 위기”

입력 : 2025-09-28 18:37:23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재난복구시스템 2등급 분류…백업시스템 없어
“추석 전 하도급 대금 지급 안될 시 사회 혼란 우려” 
박민규 “운영 이중화 등 시스템 복구체계 강화 필요”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대처상황 보고(9.28. 09:00). 박민규 의원실 제공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대처상황 보고(9.28. 09:00). 박민규 의원실 제공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주요 정보시스템이 가동 중단된 가운데, 공공공사 등 하도급 대금 지급을 담당하는 ‘하도급지킴이’ 는 백업시스템조차 없는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시스템 정상화가 지연될 경우 추석 연휴를 앞두고 하도급 업체들에 대한 대규모 대금 미지급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민규 의원이 28일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조달청이 운영하는 ‘하도급지킴이’는 전소된 피해시스템 96개 중 하나로, 현재 재난복구시스템 2등급으로 분류돼 있다.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지난해 4월 국가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누고 등급별로 재해복구시스템에 대한 투자 기준을 마련한 바 있다. 1등급은 데이터 백업 뿐만 아니라 운영시스템 이중화까지 적용된다.

‘하도급지킴이’ 시스템의 경우 지난 정부에서 예산 문제를 이유로 우선순위에서 밀려 2등급으로 분류됐다. 데이터 백업은 가능했지만, 대체 운영시스템이 없어 대금 지급 등 정상운영이 불가능한 상태다.

조달청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보고한 자료에도 “(하도급지킴이는) 백업센터 운영시스템에서 제외됐다”고 명시돼 있다. 조달청은 “추석 전 대금 지급이 안 될 경우, ‘사회 혼란 우려’가 있다”며 긴급하게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이다.


박민규 국회의원. 박민규 의원실 제공 박민규 국회의원. 박민규 의원실 제공

박민규 의원은 “국가 행정망 전산 마비 사태가 한 차례 있었음에도 지난 정부가 예산 절감을 이유로 정보시스템 이중화 조치를 제때 하지 않아 같은 사례가 반복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어 “국민 피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보시스템을 신속하게 복구하고, 단순 백업이 아닌 운영시스템 이중화가 국가 전산망 전반에 확대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획재정부와 한국재정정보원은 디브레인(dBrain+)·e나라도움 등 국가재정관리시스템의 세부적인 피해 상황을 아직 파악하지 못한 채, 의원실 자료 요구에도 현재까지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금정산챌린지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