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의 강’ 두고 마주선 김문수·한동훈, 최후 승자는

국민의힘 대선 결선 반탄 vs 찬탄 대결
홍준표 품은 김문수, 한동훈은 중도 표심 공략
차기 당 주도권 두고 경쟁 격화 분위기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2025-04-30 16:43:19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사무실 앞 복도에 대선 최종 경선에 오른 김문수·한동훈 후보의 벽보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사무실 앞 복도에 대선 최종 경선에 오른 김문수·한동훈 후보의 벽보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이 김문수·한동훈 후보의 ‘2파전’으로 압축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당내 노선 대결의 양상이 뚜렷해졌다. 이번 결선은 단순한 대선 후보 선출을 넘어 차기 당권의 향방과 보수 진영의 노선을 결정짓는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번 국민의힘 대선 결선은 ‘탄핵 반대파’와 ‘탄핵 찬성파’의 일대일 대결 구도로 압축됐다. 김문수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했던 ‘반탄파’의 대표주자로, 한동훈 후보는 당시 국민의힘 대표로서 탄핵에 동의한 ‘찬탄파’다.

김 후보는 지난 29일 2차 경선에서 승리한 뒤 ‘반탄파 2강’을 구성했던 홍준표 전 후보의 지지세를 흡수하며 세력을 확장하는 모습이다. 30일에는 홍 후보 캠프에서 활동했던 유상범·김대식·백종헌·김위상 의원이 김 후보 지지를 공식 선언했고, 나경원 전 후보도 김 후보 지원에 나섰다.

김 후보는 지지 선언 직후 “홍 후보는 아직 할 일이 많고 또 일을 잘하시는 분이다. 우리 국민이 원하는 분이기에 꼭 함께 뜻을 이뤄서 대한민국을 다시 위기로부터 구하고 국민을 행복하게 모시는 역할을 한참 더 하셔야 한다”며 “제가 계속 전화를 드리고 있다”고 홍 전 후보 지지층에 러브콜을 보냈다.

반면 한동훈 후보는 앞서 탈락한 안철수 전 후보의 표심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탄핵에 찬성했던 안 전 후보와의 연대를 통해 중도 성향의 지지층을 끌어안겠다는 전략이다. 한 후보 측은 안 전 후보뿐 아니라 오세훈 서울시장 등과의 만남도 타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동시에 한 후보는 홍 전 후보의 표심 또한 일부라도 가져오기 위해 구애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 그는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우리는 반드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이겨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나왔고 그 결기는 같다고 생각했다”며 “홍 후보님을 만나고 싶다”고 말했다.

당내에선 홍 전 후보 탈락 이후 형성된 반탄파 연대로 인해 김 후보가 결선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탄핵 반대 성향의 당원 기반이 두텁고, 홍·나 캠프 출신 의원들의 합류로 조직력까지 결집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경선은 대선 후보를 뽑는 과정이지만, 사실상 차기 당 주도권을 둘러싼 세력 간 대결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역 의원들 사이에서도 정치적 계산이 복잡해지는 모습이다. 만약 한 후보가 최종 후보로 선출돼 대선에서 선전하거나 승리할 경우,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당을 장악한 후 이른바 ‘비이재명계’ 의원들을 공천에서 탈락시킨 전례처럼 당 조직이 재편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의원들은 ‘한 후보에게 당의 주도권을 넘길 경우, 공천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문제는 또 다른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김 후보는 당 후보로 선출될 경우 즉시 한 대행을 만나 단일화를 추진하겠다는 적극적 입장이지만, 한 후보는 “지금은 우리가 경선 과정에서 강해질 때”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 후보를 지원하는 의원 상당수는 한 대행과의 단일화를 전제로 하고 있어, 최종 경선 이후 단일화 논의가 본격화될 경우 지지 구도에 변화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국민의힘은 5월 1~2일 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병행한 뒤, 3일 전당대회에서 최종후보를 선출한다. 단일한 지지층을 얼마나 조직적으로 결집시키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번 대결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이라는 강을 사이에 두고 선 두 인물이 어느 쪽으로 당을 이끌 것인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누가 차기 당권을 쥘 것인지가 가려지는 정치적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