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 , 박수빈 기자 bysue@busan.com | 2025-07-13 20:30:00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임시 청사가 부산 동구로 결정(부산일보 7월 11일 자 1면 보도)되면서 침체된 지역 상권 활성화와 낙후된 도시 정비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역이 들썩인다. 이 같은 ‘해수부 이전 효과’로 일부 상가 임대인들은 공실 매물을 거둬들이는가 하면 부동산 중개 사무소에는 매매, 임대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 지역 사회도 해수부 이전을 일제히 환영했다.
지난 11일 정부가 해수부 임시 청사로 동구 수정동 IM빌딩과 협성타워를 낙점한 뒤 주말 동안 인근의 한 부동산 중개 사무소에는 20건이 넘는 문의가 쏟아졌다. 해수부 임시 청사 발표 이전에는 찾는 이들이 없어 임대료를 낮추던 상가 임대인들도 빠르게 매물을 거둬들이는 등 일대 부동산 업계에서 눈치 싸움이 시작됐다. 신은숙 공인중개사는 “이전이 발표된 지 몇 시간 지나지 않아 주변 상가 시세를 묻는 연락이 들어왔고 당일 직접 현장 매물을 안내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인근 상인들도 850명에 달하는 직원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지역으로 유입되는 ‘해수부 효과’로 침체한 상권이 되살아나길 기대했다. 동구 수정전통시장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김성진(51·부산 동구) 씨는 “800명이 넘는 직원들이 매일 인근에서 점심 식사를 해결하고, 퇴근 후엔 회식도 하는 모습을 상상하면 신이 난다”며 “일대가 낙후된 이미지를 벗고 골목마다 손님들이 가득한 ‘핫플’로 거듭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달 초 부산시는 각 구군에서 임시 청사로 활용할 수 있는 공공·민간 사무용 건물 현황을 취합해 10곳을 추려 해수부에 제시했다. 해수부는 연내 이전이 가능하고 직원과 방문객 모두 접근하기 편리한 장소를 1순위로 검토해 왔다. 각각 본관과 별관으로 활용되는 두 건물 모두 부산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에서 도보로 1~2분 거리이고, 부산역과도 정거장 2개 거리로 이용이 편리하다. 본관과 별관 간 거리도 도보로 4분가량으로 가까워 업무 연계에 큰 지장이 없다.
해수부 이전은 역대 부산으로 옮긴 공공기관 가운데 위상과 규모 모두 최고다. 이전까지는 2014년 12월 서울에서 남구 BIFC로 옮긴 한국자산관리공사가 730명으로 가장 큰 규모였다.
해수부 이전으로 직원은 물론 가족 상당수도 부산으로 이주한다면 소비 등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더욱 클 전망이다. 2021년 기준 부산 이전 13개 공공기관 임직원의 가족 동반 이주율은 50.2%로 나타났다. 직원 10명 가운데 5명은 가족과 함께 부산으로 터전을 옮긴 것이다.
인근 지자체들과 치열한 유치전 끝에 해수부 이전지로 낙점된 부산 동구는 이번 결정이 해수부와 동구 모두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김진홍 동구청장은 “부산역, 북항 등과 가까워 해수부의 접근성이 좋아지고 인근에 이미 자리한 해양·수산 관련 공공기관과 기업, 단체 등과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며 “해수부 이전으로 동구는 해양수산 행정, 산업, 교육, 연구가 집약된 종합 해양 플랫폼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전이 빠르게 추진되다 보니 교통 편의와 접근성이 최우선으로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며 “해수부의 연내 이전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