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 2025-07-10 20:00:00
가덕신공항 건설을 일방적으로 포기한 현대건설의 부산 사업 참여를 저지하려는 지역 사회의 움직임이 거세다. 고리 1호기 해체, 벡스코 제3전시장 건설 등 아직 진행 전인 사업의 참여를 배제하는 것은 물론 이미 진행되고 있는 현대건설 참여 사업에 대해서도 사업 전반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수년째 착공이 지연되고 있는 승학터널 건설 사업이 재점검 1순위로 떠오르고 있다.
10일 부산시의회에 따르면, 송현준(강서2) 의원은 최근 부산시에 현대건설이 참여 중인 부산 사업 전반에 대한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부산시로부터 자료를 전달 받는 대로 시의회 차원에서 현대건설 참여 사업 전반을 재점검하고, 문제점이 발견되는 사업의 경우 현대건설을 제재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는 방침이다.
재점검 대상 1순위로 승학터널 건설 사업이 거론된다. 이 사업은 2016년부터 부산시가 추진 중인 민간투자 방식의 대형 프로젝트로, 사상구 엄궁동과 중구 중앙동을 잇는 왕복 4차로(7.69km) 도로 건설이 골자다. 총 사업비는 5000억 원 규모로, 현대건설이 최대 지분(4.5%)을 보유한 서부산도시고속도로 주식회사가 사업을 맡고 있다.
당초 사업은 2022년 착공해 2026년 말 준공되어야 하지만, 실시설계 협상 지연으로 수년째 착공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공사 지연이 장기화되면서 서부산권 교통난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이 늦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연 원인과 계약 전반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송 의원은 “현대건설의 가덕신공항 공사 포기로 지역민들에게 피해를 입힌 만큼 계약 과정이나 공사 진행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는지 등을 철저하게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대건설의 부산 사업뿐 아니라 전국 사업에 대한 검증 움직임도 고개를 들고 있다.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은 10일 100억 원 이상 규모의 전국 건설 사업 가운데 현대건설이 참여 중인 사업 현황을 국토교통부에 요청했다. 김 의원은 이 자료를 바탕으로 국정감사에서 현대건설을 상대로 송곳 질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김 의원은 “지역 숙원 사업은 나 몰라라 하고 돈 되는 사업에만 관심을 가지는 현대건설에 대해 문제가 없는지 철저히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특히 가덕신공항 건설 포기 과정에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을 포함한 그룹 최고위층의 개입 여부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역 정가에서는 정의선 회장이 사업 포기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뿐 아니라 정 회장의 국정감사 출석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