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창훈 기자 jch@busan.com | 2025-08-03 17:10:53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간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여권에서는 이달 내 성사를 유력하게 보고 있지만, 구체적 시점에 대해서는 관측이 엇갈린다.
대통령실은 3일 오후 “한미 정상회담 개최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면서 “한미 외교 당국 간 조율 중이며 결정시 양국이 협의 후 발표할 예정”이라고 공지를 냈다. 당초 일부 언론에서 몇몇 날짜를 유력한 시점으로 못 박아 보도했는데, 일단 대통령실은 이런 전망에 선을 그은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과 정상회담을 언제 하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한국과 훌륭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만 답했다. 그는 지난달 말 한미 관세협상을 15%로 타결한 직후 ‘2주 내 정상회담’을 거론한 바 있다. 관세 협상에서 우리 측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확약받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둔 만큼 미뤄뒀던 정상회담에 적극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우리 외교 당국은 여러 여건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2주 내’ 시점에 구애 받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일단 촉박한 일정상 국민 방문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공식·실무 방문 등 ‘콤팩트’한 일정으로 회담 형식이 합의된다면 내달 셋째 주에 열릴 가능성도 거론된다. 그러나 오는 15일에는 이 대통령의 취임식 격인 ‘국민 임명식’이 예정돼 있고, 그 다음 주에는 한미 연합 군사훈련인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UFS)이 예정돼 있는 등 국내 일정도 빠듯한 상황이다. 여기에 통상 분야는 물론,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 방위비 분담금, 북핵 대응 등 안보 분야도 폭넓게 논의할 가능성이 큰 만큼, 준비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어 이달 마지막 주가 유력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구체적으로 오는 25일을 거론한 보도도 나왔다.
이와 관련, 한미 외교 수장도 최근 첫 만남을 갖고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비롯해 양국 현안 조율에 나섰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에 있는 국무부 청사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을 취임 후 처음으로 만나 한미 동맹과 한미일 협력, 북한 문제 및 지역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측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한미일 3자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는 동시에 역내 안보 환경의 변화 속에 한미동맹의 전략적 중요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현대화’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양측은 인공지능(AI), 원자력, 퀀텀 등 첨단 기술 분야 협력을 토대로 한 양국 간 기술 동맹을 발전시키고, 특히 조선 협력 강화를 구체화해 나가기 위한 범정부 협력 체계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