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덕신공항 2029년 개항 흔들려선 안 된다

공기 연장은 사실상 수의계약 배짱
대선 후보 '개항 불변' 공약 제시를

2025-04-29 05:12:00

2029년 개항 예정이던 가덕신공항이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비상식적인 기본설계안 제출로 개항이 지연될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은 가덕신공항 예정지인 부산 강서구 가덕도 전경. 김경현 기자 view@ 2029년 개항 예정이던 가덕신공항이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비상식적인 기본설계안 제출로 개항이 지연될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은 가덕신공항 예정지인 부산 강서구 가덕도 전경. 김경현 기자 view@

가덕신공항 개항이 예기치 않은 난관에 부딪혔다. 최근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기본설계안에서 공사 기간을 기존 84개월에서 108개월로, 2년 더 연장할 것을 요구하면서 애초 목표였던 2029년 말 개항이 사실상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2029년 개항을 여러 차례 공언했던 정부와 부산시는 갑작스러운 공기 연장 요구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가덕신공항은 단순한 지역 개발 사업이 아니다. 이는 국가적 약속이자 동남권 주민의 오랜 염원과 직결된 중대한 사안이다. 국토균형발전과 지역 경제 도약의 핵심축으로 추진되어 온 가덕신공항의 2029년 개항이 민간사업자의 입장 변화로 흔들려서는 절대 안 된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수의계약을 통해 선정된 사업자다. 입찰 당시 2029년 12월 개항을 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이후 지원시설과 장기 주차장 등 잔여 공사를 2031년까지 마무리한다는 전제 아래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선협상대상자가 된 후 공기와 예산을 상향 조정하려는 시도는 공정성과 책임성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다. 특히 정부가 제시한 공사비 10조 5000억 원보다 1조 원 이상 많은 예산을 요구하고 있어 시민들은 계약 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 이는 명백히 ‘수의계약 배짱’이라 할 만하다.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중요한 국가사업이 민간사업자에 의해 휘둘리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다행히 정치권에서도 대선 후보들이 이 문제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며 2029년 ‘적기 개항’을 촉구하고 있다. 각 당 대선 후보 캠프는 물론, 부산 지역 정치권 역시 한목소리로 적기 개항을 강조하고 있다. 가덕신공항은 2029년 개항을 전제로 사업이 추진되어 온 만큼 부산 시민들의 염원이 조금이라도 미뤄져서는 안 된다. 국민과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대선 후보들이 이 사안을 분명한 공약으로 내세우고 책임 있는 해결 방안을 국민 앞에 제시해야 한다. 정부와 부산시도 더 이상 당황하거나 책임을 미뤄 둘 시간이 없다. 과거의 공언을 지키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지금 바로 전방위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가덕신공항 2029년 개항은 단순한 일정이 아니라 국가균형발전과 정부 공약의 신뢰를 상징하는 중요한 과제다. 개항이 지연될 경우 부산은 물론 전국적으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연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정치적 혼란은 더 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정부와 부산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정치권과의 협력을 통해 2029년 개항을 위한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단순히 ‘기술적 문제는 없다’는 말만 반복할 것이 아니라 명확한 실행 방안과 일정을 마련해 가덕신공항이 차질 없이 개항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029년 개항은 더이상 미룰 수 없는 반드시 지켜야 할 약속이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