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 2025-05-01 18:15:11
부산시가 1조 3600억 원을 투입해 부산 사하구 다대포 일원 300만㎡에 5성급 이상 호텔 2곳과 인공서핑시설 등을 갖추겠다는 계획을 마련, 해양수산부가 진행하는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 사업 공모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시 계획에는 다대소각장 부지와 옛 한진중 부지 등에 추진돼 온 사업도 포함됐다.
해수부가 ‘한국형 칸쿤(Cancun)’을 만들겠다며 진행하는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 사업 공모에는 부산시와 함께 전국 9개 광역지자체가 경쟁에 뛰어들었다. 정부는 오는 7~8월께 대상 지역 2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1일 해양수산부와 부산시에 따르면, 해수부가 지난달 30일까지 약 4개월간 바다를 끼고 있는 전국 11개 광역지자체(서울·대전·대구·광주·세종·충북 6곳 제외)를 대상으로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광역지자체당 1건) 공모를 진행한 결과 부산시 등 9개 광역 시도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9곳은 울산과 제주를 뺀 부산, 인천, 경남, 전남, 충남, 전북, 경북, 강원, 경기 지역이다.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 사업은 해양관광자원을 바탕으로 관광자원 개발·보전과 민간투자를 연계해 기존 지역에 해양레저관광 기반 시설(인프라)과 콘텐츠를 결합한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를 조성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부산시가 제출한 최종사업 계획서 ‘다대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따르면, 사업 대상지는 부산 사하구 다대포 일원 300만㎡(약 90만평, 육역 82만㎡·해역 218만㎡)다. 시는 재정투자 2000억 원(국비·지방비 각 1000억 원), 민간투자 1조 1600억 원 등 총사업비 1조 3600억 원을 투입해 올해부터 2035년까지 다대포 일원을 서부산의 대표적인 해양레저관광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민간투자사업으로는 호텔 2개와 인공서핑시설 등 3개 사업에 총 1조 1600억 원이 들어간다. 재정지원사업으로는 해상둘레길 등 7개 사업에 2000억 원이 투입된다. 기반시설(인프라)로는 복합해양레저공간(야외 해수풀장), 인공서핑시설, 해수풀장, 해양치유센터 등 체험·관광시설이 조성된다. 이와 함께 지역 매력도를 높일 수 있는 행사와 콘텐츠 개발도 지원한다.
지역 건설사인 (주)지원건설이 이번 사업을 위해 설립한 법인인 (주)엘튼은 다대소각장 부지에 글로벌 수준의 5성급 이상 관광숙박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또 다대포 일원에 진행 중인 옛 한진중공업 부지 재개발 등 ‘다대뉴드림플랜사업’도 함께 진행된다.
한편, 해수부가 9개 광역지자체의 사업 내용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언론보도 등을 통해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 참여 의향을 밝힌 도시는 부산(올해 1월 공식 발표), 인천, 경남(통영), 전남(여수), 경북(포항), 전북(고창), 충남(보령), 강원(양양), 경기(시흥) 등으로 파악되고 있다.
해수부는 1곳당 민간투자 8000억 원, 국비 1000억 원, 지방비 1000억 원의 총 1조 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다양한 매력을 갖춘 국내 복합해양레저관광 명소 조성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오는 6~7월에 현장실사를 포함한 평가를 거쳐 이르면 7~8월께 사업 대상지역 2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당초 오는 6월에 사업 대상지역을 선정할 예정이었지만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과열경쟁이 우려되고 ‘6·3 대선’ 변수까지 생기면서 진행 속도를 다소 늦춘 것으로 전해졌다.
해수부는 올해 안으로 기본계획 수립 절차에도 착수한다. 해수부는 사업 대상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이 하나의 관광 명소로 발전할 수 있도록 사업지구 차원의 발전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사업들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