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전당대회서 PK 표심 변수로 떠오른 ‘해수부 부산 이전’

해수부 이전 두고 당 대표 후보 입장 갈려
주진우·조경태, 찬성…“국가균형발전 필요”
안철수·장동혁, 반대 입장 밝혀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2025-08-06 16:07:19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5명 후보의 포스터가 붙어 있다. 왼쪽부터 장동혁, 안철수, 주진우, 조경태, 김문수 후보. 연합뉴스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5명 후보의 포스터가 붙어 있다. 왼쪽부터 장동혁, 안철수, 주진우, 조경태, 김문수 후보. 연합뉴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일부 출마 후보들이 충청권을 찾아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해수부 이전에 반대 입장을 밝히자, 지역에서는 강한 반발이 일고 있다. 지역 핵심 사업을 둘러싼 입장 차이가 뚜렷해지면서 8·22 전당대회 경선 판세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주진우 후보는 지난 5일 페이스북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반대 의사를 밝힌 김문수·장동혁 의원을 겨냥해 강하게 비판했다. 주 후보는 “난 해수부 부산 이전에 적극 찬성한다”며 “이미 결정된 해수부 이전은 신속히 추진하고, 정부에 그 이상의 것을 더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해수부 부산 이전은 이미 결론이 났다. 김문수·장동혁 후보가 반대해도 뒤늦은 발목잡기처럼 비춰질 뿐 막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충청권을 위해서 해수부 대신 ‘더 큰 것’을 가져올 고민을 해야 맞다. 이런 식의 제 살 깎아먹기식 반대가 아니라 지방 경제를 어떻게 살리고, 청년 일자리를 어떻게 늘릴지를 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강한 야당은 선명하면서도 효능감 있도록 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문수 후보는 해수부 이전 반대에 대한 비판 여론이 일자 전날 부산을 찾아 진화에 나섰다. 그는 “해수부를 부산으로 이전하지 않는 것보다는 이전하는 게 낫다”면서도 “다만 행정 효율성 차원에서는 다소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앞서 지난 4일 대전에서는 “중앙부처를 여기저기 나눠 놓으면 업무 효율성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국민이 불편해 한다”며 “선거 때마다 하나씩 떼어 떡 주듯 지역마다 선심성으로 나눠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장동혁 후보는 같은 날 세종시를 찾아 정부의 해수부 이전에 대해 “이율배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통령실 세종 이전과 국회 이전을 약속해놓고 해수부를 부산으로 옮기겠다는 것은 이율배반”이라며 “해수부 이전은 행복도시법을 위반하는 결정이므로, 충청권 의원들과 함께 법적·정치적으로 강력히 맞서겠다”고 밝혔다.

조경태 후보는 정부의 해수부 이전에 대해 적극 지지 의사를 밝혔다. 6일 그는 이전을 반대하는 후보들을 향해 “헌법에는 국가균형발전을 이뤄야 할 의무가 명시돼 있고, 해수부 부산 이전을 반대하는 건 헌법정신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일”이라며 “정부가 이전을 추진 중인데 무슨 권한으로 막으려 하나. 부산 이전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당 대표 나올 자격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까지 부산 시민들이 국민의힘을 많이 지지해줬는데 해수부 이전을 반대하는 건 거기에 대한 배신 행위로 상당히 유감스럽다”며 “해수부 이전을 염원하고 있는 부산 시민들한테 당장 사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철수 의원은 해수부 이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유지 중이다. 그는 지난달 4일 서강대 강연 이후 “부산 이전은 반대한다. 표퓰리즘”이라며 “차라리 기업이나 은행이 가는 것이 부산 발전에 도움이 되고, 해수부는 세종에 있어야 다른 부처와 일할 수 있지 않나”라고 말했다. 지난 6월 부산 광안리해수욕장 버스킹에서도 “과거에도 공공기관만 이전해서 그 지역이 발전한 적은 없었다”며 “해수부 이전보다는 대기업이나 산업은행 이전을 주장하는 게 나을 것”이라고 밝혔다.

해수부 부산 이전은 PK 지역의 상징적 현안이자 경제·산업과 직결된 사안으로, 찬반 구도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반 입장과 맞물리며 8·22 전당대회까지 PK 표심을 좌우할 핵심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