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 2025-04-28 18:29:20
대선후보 선출이 임박하면서 국민의힘 각 시도당들도 선거 채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당위원장 대행 채제로 전환된 부산시당만큼은 분주한 타 시도당과 상반되는 모습이다.
28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지난 26일 싱크탱크 부산행복연구원을 발족시켰다. 원장은 국민의힘 조승환(중영도) 의원으로 안성민 부산시의회의장, 이복조 부산시의회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 현직 외에 전직 부산시의원과 대학 교수 등이 정책자문위원으로 참여해 21대 대선 부산 공약을 논의했다.
이처럼 국민의힘 부산시당도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6·3 대선 모드로 전환하려 하지만 좀처럼 열기는 달아오르지 않는 모양새다. 실제로 앞서 지난 24일 부산시당위원장 대행을 맡고 있는 정동만 의원 주재로 부산 국민의힘 의원들이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모임을 가졌지만 이 자리에는 17명의 현역 가운데 11명이 참석하는 데 그쳤다. 또한 이 자리에서는 대선과 관련한 논의가 주를 이룰 것으로 관측됐지만 실제 선거와 관련해 논의한 시간은 얼마 되지 않았다. 대선에 대한 부산 국민의힘 현역 의원들의 관심이 저조해 보이는 대목이다.
부산 국민의힘에서는 더불어민주당에 비해 대선 경선 일정이 반박자 늦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연한 분위기라고 반박한다. 또한 민주당은 이재명 후보의 압도적 승리가 예견된 만큼 본선을 대비한 움직임이 가능한, 양당의 상황적인 차이가 있다고 부연한다.
이 같은 주장을 고려하더라도 국민의힘 부산시당이 이번 대선에 대하는 태도가 안일하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렵다. 국민의힘의 다른 시도당과 비교해도 대조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일례로 국민의힘 강원도당은 앞서 지난 22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승리를 위한 사무국장 및 선거 사무 관계자 연석회의’를 열고 대선 관련 선거 사무 전반과 정당 선거사무소 개소, 회계 사무 등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보수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는 까닭에 불리한 구도로 진행될 수 없는 만큼 현장에서 즉시 움직일 수 있는 지휘 체계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국민의힘 부산시당의 느슨한 분위기 때문에 지지층 내에서는 동요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일각에서는 대선이라는 중요한 시기에 시당이 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원인으로 꼽는다. 시당위원장을 맡고 있던 박수영 의원은 김문수 대선 경선 후보 캠프에 합류하면서 시당위원장직을 사퇴한 상태다. 국민의힘은 중앙당 및 시도당 사무처 당직자는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선거 운동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수석부위원장인 정 의원의 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실제로 지역 선거를 이끌 사령탑 부재로 인한 부산 국민의힘 결속력 문제가 불거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대선 레이스에서 독주를 달리고 있는 이 후보가 지난 18일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을 꺼내 들었고, 부산 민주당은 즉각 지원 사격에 나섰지만 부산 국민의힘에서는 이렇다 할 반격을 보여주지 못했다. 특히 대다수 의원들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주말 동안 자신이 지역 행사 일정에 참석한 사진을 올리는 등 긴장감 없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며 일부는 자신이 지지하는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홍보하는 글을 올리는 데 그쳤다. 수장 공백 상태인 부산시당도 별도의 대변인 논평조차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