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추가 결핵환자 250명… 전년도보다 크게 는 이유는

질병관리청 ‘2024년 결핵 역학조사 결과’ 발표
전파 위험 없는 잠복결핵감염 진단자도 증가
흉부CT 등 검사 활발, 결핵 진료지침 개정 주효

부울경 신환자율, 각각 27.7·27.1·26.8명 집계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2025-05-08 14:49:57

2024 결핵 신환자율. 질병관리청 제공 2024 결핵 신환자율. 질병관리청 제공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추가 결핵환자는 250명으로, 접촉자 10만 명 당 235.9명 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구 10만 명 당 35.2명인 일반인 결핵 발생률보다 7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질병관리청은 8일 지난 한 해 동안 결핵환자 접촉자 10만 59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도 결핵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결핵환자의 접촉자는 총 10만 5989명으로 전년도(10만 7804명)에 비해 다소 줄었다. 하지만 가족접촉자와 집단시설 내 밀접접촉자 5만 9547명을 대상으로 한 잠복결핵감염 검사 결과 1만 7537명(29.5%)이 잠복결핵감염 진단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도(1만 4207명)보다 크게 늘어난 수치다. 잠복결핵감염은 결핵균에 감염됐지만 아직 발병하지 않아 임상적 증상이 없고, 균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전파 위험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2024 결핵역학조사결과 2024 결핵역학조사결과

이에 추가 결핵환자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추가 결핵환자는 전년도(200명)보다 크게 늘어난 250명으로 집계됐다. 추가 결핵환자 중 가족 접촉자는 108명으로 접촉자 10만 명당 571.6명꼴이었고, 집단시설 접촉자는 142명으로 10만 명당 163명꼴이었다. 가족 접촉자와 집단시설 접촉자의 잠복결핵 감염률은 각각 30.1%, 29.2%였다.

이처럼 지난해 발견된 잠복결핵감염자와 추가 결핵환자가 크게 늘어난 것은 집단 발생 우려 시설의 잠복결핵감염자를 대상으로 흉부 CT(컴퓨터단층촬영) 등을 적극 시행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결핵 진료 지침이 개정되면서 65세 이상 고령 접촉자도 제한 없이 잠복결핵감염 검사와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집단시설의 경우 사회복지시설의 추가 결핵환자 발생률은 접촉자 10만 명당 227.9명으로 가장 높았고 잠복결핵감염률도 37.9%로 가장 높았다. 조사 대상 사회복지시설의 대부분은 노인 요양시설이었으며, 면역력이 낮은 고령 접촉자들이 결핵환자와 장시간 밀접하게 접촉해 감염 위험이 높다는 것이 질병청의 설명이다.

한편 인구 10만 명 당 신규 결핵 환자 수를 의미하는 결핵 신환자율의 경우 부산 27.7명, 울산 27.1명, 경남 26.8명으로 전국 평균(28.2명)보다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신규 결핵 환자와 재치료자를 포함한 전체환자율 역시 전국 평균은 인구 10만 명 당 35.2명인 가운데 부울경은 각각 32.4명, 33.3명, 33.7명으로 조사됐다.

질병청은 결핵환자 접촉자의 결핵 발병 위험은 일반인보다 약 7배 높기 때문에 역학조사에 적극 참여해 조기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잠복결핵감염으로 확인될 경우 결핵 발병 고위험군으로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하면 결핵 발병을 최대 90%까지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