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수장관 “HMM·해사법원·동남투자은행 압축·동시다발적 진행할 것”

“동남권에 해양수도권 만들자는 것”
“조선·해양플랜트 이전 적극 검토해야”
취임 후 기자간담회…“수산차관 필요”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2025-07-24 12:09:09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24일 취임식 직후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을 방문해 해수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등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다. 해수부 제공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24일 취임식 직후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을 방문해 해수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등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다. 해수부 제공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24일 이재명 대통령 부산 공약인 해수부 이전, HMM 이전, 해사전문법원 유치, 동남투자은행 출범 등 4개 주요 과제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재수 장관은 이날 오전 취임식 직후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해수부가 연말까지 내려가고, HMM을 비롯한 해운대기업, 해사전문법원, 동남투자은행 등 어느 것이 먼저다 할 것 없이 압축적·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성과가 먼저 나오고 좀 뒤에 나오는게 있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는 식으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또 해수부 기능 강화론과 관련, “해양정책과 산업정책이 믹스되려면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 업무룰 가져와 해수부 기능과 역할이 강화되면 시너지 효과를 더 가속화시킬 것”이라며 “조선·해양플랜트 기능 이전도 해수부 기능 및 역할 강화 측면에서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부에서 해수부로 조선·해양플랜트 업무를 이관하려는 과제에 대해 "산업부에서 1개과 10명이 일하는 데, 해수부에 오면 같은 10명에 1000배, 1만 배 실적을 낼 수 있다고 믿는다"라며 "정부 내 토론 때도 강력하게 주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사실상 3심이라 할 수 있는 해사전문법원이 사법 기능을 총괄하고, 경쟁력 있는 내로라하는 해운선사들, 여기에 전문 투자하는 동남투자은행-물론 지금 (총자본금) 3조 원 규모로 출범하지만 하다 보면 5조, 10조 원이 될 수도 있다”며 “(이들 기관·업체가) 기존 인프라와 제대로 시너지 효과를 내고, 해수부가 행정력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서 키잡이 역할을 한다면, 한반도 남단에 새로운 성장엔진을 만들 수 있다. 서울과 수도권에 버금가는 경제 규모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재수(오른쪽) 해양수산부 장관은 24일 취임식 직후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을 방문해 해수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등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다. 해수부 제공 전재수(오른쪽) 해양수산부 장관은 24일 취임식 직후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을 방문해 해수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등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다. 해수부 제공

전 장관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한반도 동남권에 ‘해양수도권’을 만들자는 것”이라며 “시너지를 내면 새 성장엔진을 만들 수 있다. 새 바닷길인 북극항로가 열리면 엄청난 변화가 생길텐 데, 해수부가 부산에 내려가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울경의 기존 항만·해운·조선·산업·인재 인프라에 행정·사법·금융까지 집적해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에 따른 해수부 직원 이사 지원 등과 관련해서는 "선례를 모으고 있다"며 "원칙은 불편함을 걷어낼 수 있는 자원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전 장관은 정치권 일각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이 내년 지방 선거용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 데 대해 "(이전이) 너무 잘 돼 긍정적이라서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겠으나, (선거를) 전제로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내년 지방서거 부산시장 출마 여부에는 확답을 피했다.

전 장관은 "기후변화, 식량안보 위기 등이 있어 수산 분야에 신경을 써야 한다"며 "전담 차관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기후 위기로 수산 패러다임을 완전히 전환해야 할 시점에 농촌진흥청과 같은 수산청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부처마다 (청이) 있으면 정부의 지불 능력이 될까"라고 반문하면서 "정부 내에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해수부가 (부산으로) 내려가는 조치 자체가 엄청난 상징적 의미, 실효성을 가진 조치”라며 “(해수부 이전 등 4개 공약은) 부울경 맞춤 공약이지만, 근본·근원적으로는 대한민국 성장전략 발전전략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이해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몇 년 뒤 (해수부·HMM 이전, 동남투자은행 출범 등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본다"며 "현재 17개 시·도 지역 내 총생산(GRDP) 2500조 원 중 수도권의 비중이 53%이고 경남 5.7%, 부산 4.7%, 울산 3.7%인 데, 분명 숫자 변화가 이와 달라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직원 이사 지원 등과 관련해서는 "선례를 모으고 있다"며 "원칙은 불편함을 걷어낼 수 있는 자원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