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 공공기관 부산 이전’ 드라이브 거나…전재수 장관 첫 공공기관장 회의 주재

기관별 안전관리·업무계획 등 현안 논의
전 장관, 공공기관도 집적화 필요성 강조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2025-08-07 15:48:00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7일 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서 취임 후 첫 해양수산부 산하 17개 공공기관장이 참석하는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해수부 제공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7일 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서 취임 후 첫 해양수산부 산하 17개 공공기관장이 참석하는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해수부 제공

해양수산부가 ‘연내 해수부 부산 이전’에 따른 HMM 등 해운대기업 부산 이전과 더불어 해양수산 공공기관 부산 이전에도 드라이브를 거는 모양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7일 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서 취임 후 첫 해양수산부 산하 17개 공공기관장이 참석하는 회의를 주재했다.

17개 기관은 해양환경공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국립해양박물관, 국립울진해양과학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한국해양조사협회, 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해양수산연수원, 부산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항로표지기술원이다.


전재수(왼쪽) 해양수산부 장관이 7일 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서 취임 후 첫 해양수산부 산하 17개 공공기관장이 참석하는 회의를 주재하기에 앞서 공공기관장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해수부 제공 전재수(왼쪽) 해양수산부 장관이 7일 수산물품질관리원 서울지원에서 취임 후 첫 해양수산부 산하 17개 공공기관장이 참석하는 회의를 주재하기에 앞서 공공기관장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해수부 제공

이번 회의에는 여름철 폭염 등 자연재해로 인한 건설현장 등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각 기관의 안전관리 주요시설 관리계획 및 2025년 기관별 업무계획 등 주요 현안사항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전 장관은 “안전은 현장 중심의 예방이 중요하고, 국가 제1의 책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므로 정책현장에서 빈틈없고, 철저한 안전관리 해달라”고 당부했다.

전 장관은 또 “해수부는 북극항로 시대를 준비하고, 수도권 일극체제를 벗어나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동남권이 해양수도권으로 조성되기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 수행을 위해 부산으로 이전하게 되었다”며 “이에 관련 공공기관도 집적해 정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양수산 공공기관 가운데 이미 상당수가 부산으로 이전했거나 부산에 집적해 있는 가운데, 현재 비부산권에 소재한 관련 공공기관 중 국립 공공기관과 항만공사(PA)를 제외한 해양환경공단(서울), 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세종),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 서울), 해양조사협회(서울),어촌어항공단(서울), 항로표지기술원(세종) 등이 부산 이전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전 장관은 지난 5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해수부 산하 기관도 모두 부산으로 이전할 계획인지’를 묻는 질문에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는 이유는 동남권에 새로운 해양수도권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해양수도권이 새로운 ‘성장 엔진’의 기능을 하려면 해수부뿐 아니라 관련 공공기관 등을 집적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이전할 공공 기관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느냐는 관점에서 검토 중이다. 현재 대상 기관을 특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