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랜드마크는 유찰·트램은 하세월… 북항 미래는 안갯속

북항 1·2단계 재개발사업 점검

1단계 2027년까지 마무리 빠듯
매각 대상 부지 중 35%만 분양
내년 말 완공 목표 오페라하우스
공사비 부족 탓에 공정률 60%
2단계 사업비 확보 방안 숙제
LH 등 컨소시엄 참여 결정 미뤄
2028년은 돼야 착공 가능할 듯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2025-09-15 20:40:00

부산항 북항 재개발사업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해양수도 부산의 미래 비전 구상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북항 1·2단계 재개발 사업지 전경. 정종회 기자 jjh@ 부산항 북항 재개발사업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해양수도 부산의 미래 비전 구상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북항 1·2단계 재개발 사업지 전경. 정종회 기자 jjh@

국책사업으로 진행 중인 부산항 북항 1·2단계 재개발사업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해양수도 부산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북항의 미래 비전 구상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사업 지연 불가피한 1·2단계 재개발

우선,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2008~2027년)은 총사업비 2조 9929억 원(정부 3596억 원, 부산항만공사 2조 3216억 원, 부산시 3117억 원)을 투입해 부산 동구·중구 일원을 대상으로 항만 기능이 저하된 북항 재래부두를 해양관광거점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15일 해수부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이하 추진단)에 따르면, 부산항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은 현 사업계획(13회 변경) 기준 1-1, 1-2단계 부지 조성은 준공했으며, 1-3단계(2016~2025년), 1-4단계(2016~2027년)는 부지 조성 중에 있다. 현재 매각 대상부지 39만 ㎡ 중 35%인 13만 5000㎡만 분양을 마쳤다.

북항 1단계 재개발구역은 이미 부분 준공한 도로·항만시설·공원 등 기반시설 외에 문화공원, 보도교#1, 마리나 방파제 등 잔여 기반시설 공사가 남아 있다. 행정안전부에서 추진 중인 공공청사도 올해 하반기에나 착공할 예정이다. 현재 여건상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은 사업 시한인 2027년 말까지 이들 사업들을 마무리 짓기에는 시간이 빠듯하다는 게 중론이다.

현재 북항 1단계 잔여 사업을 보면, 마리나 시설 건립공사는 2단계로 나눠 수영장, 다이빙풀, 숙소, 계류시설 등은 완료했고, 보트 육상적층시설 등 2단계는 81%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오페라하우스(지하 2층·지상 5층) 역시 내년 12월 완공 목표이지만, 공사비 부족으로 60% 공정률에 그치고 있다. 보도교#1 건설공사는 설계검토 중이다.

상부 공공 콘텐츠인 해양레포츠콤플렉스, 부산항기념관, 공원대체시설, 유·도선장 등은 아직 기본구상 중이다. 북항 1단계 지구의 명물로 관심을 모은 트램(노면전차)은 부산시에서 현재 ‘제2차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절차를 이행 중이어서 착공 일정도 확정하지 못했다. 북항의 상징인 랜드마크 부지도 공모 유찰을 거듭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항만-원도심-철도’ 통합개발을 통해 부산을 신해양산업 중심지로 육성하는 내용의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2020~2030년) 역시 예타 통과(2022년 10월) 이후 사업비 단가 현실화 및 비용 추가 등에 따른 사업비 약 7000억 원 증가(4조 600억→4조 7600억 원)로 사업성 확보 방안이 숙제로 떠올랐다.

부산시 컨소시엄 중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BPA)를 뺀 잔여 기관(LH·부산도시공사·코레일)은 아직도 참여 결정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현 추세라면 북항 2단계도 빨라도 2028년에나 착공이 가능할 전망이다.

2단계 재개발구역 크레인 철거 작업 모습.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 제공 2단계 재개발구역 크레인 철거 작업 모습.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 제공

■해수부, 투자 유치 활성화 안간힘

해수부 추진단은 사업 속도를 높이겠다는 입장이지만 이 역시 투자 환경이나 개발 진척 정도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추진단은 “북항 1단계는 공공 부지를 우선 분양하고 민간 부지는 수요자 중심 투자 유치 전략을 펼쳐 분양을 활성화하고, 2단계는 연내 사업 추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1단계 핵심 사업인 랜드마크 부지의 경우 해수부와 부산시 등의 의견 차가 커 사업 차질이 우려된다. 해수부 측은 투자설명회, 전문가 자문 등 투자 유치 방안을 모색 중이라는 입장이다. 1단계 재개발 부지 상부 활성화를 위한 복합해양문화레저타운은 현재 조성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해수부는 북항 2단계 재개발사업과 관련해서도 사업계획 고시, 실시계획 승인 등 후속 행정 절차를 적극 이행하겠다는 방침이다. 2단계의 경우 사업구역별(항만·도심·철도) 사업성을 고려한 단계별 사업 이행, 사업비 절감 등 사업화 방안 마련이 관건으로 보인다. 사업성이 확보돼야 나머지 기관 참여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항만업계 한 관계자는 “부산항 북항을 해양산업·금융·R&D(연구개발) 등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지로 재개발해 북극항로 진출을 위한 거점 배후단지로 육성하려면 해수부와 부산시, BPA가 각종 세제·재정 등 인센티브를 매개로 보다 적극적인 투자 유치 등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