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 2025-09-10 19:00:00
내년 6·3 지방선거를 8개월여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차기 부산시장으로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현직인 박형준 부산시장을 오차범위 내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창간 79주년을 맞은 〈부산일보〉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7~8일 부산 지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6년 6·3 지방선거 부산시장 후보 여야 지지도 조사 결과, 전 장관은 20.3%로 여야를 아우른 8명의 후보 중 가장 높은 지지도를 기록했다. 전 장관에 이어서는 현직인 박 시장(15.9%)이 높은 지지도를 보였다. 그 뒤로 국민의힘 김도읍(8.9%) 의원, 조경태(7.9%) 의원, 더불어민주당 최인호(6.3%) 전 의원, 민주당 이재성(4.9%) 부산시당위원장, 민주당 박재호(4.5%) 전 의원, 변성완(3.7%) 전 부산시 행정부시장 순으로 지지도가 높았다.
전 장관이 박 시장보다 4.4%포인트(P)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오차범위(±3.1%P) 내 접전 구도다. 그럼에도 과거 보수 우세 지역으로 불리던 부산에서 진보 진영의 후보가 오히려 가장 앞선 결과를 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따른 정권 교체와 이재명 대통령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이 부산 민심을 흔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다만 특정 정당이나 후보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 응답 비율이 25%를 넘기면서, 이들 부동층의 결심이 향후 지방선거의 핵심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번 조사에서 ‘선호하는 후보가 없다’는 응답이 16%, ‘그 외 인물’과 ‘잘 모름’ 응답이 11.7%에 달했다.
연령별 지지도를 살펴볼 때 전 장관은 30~60대에 걸쳐 고르게 20% 이상의 높은 지지도를 보였다. 반면 박 시장은 60대(21.0%)에서만 20%를 넘겼을 뿐이다. 그나마 60대와 함께 70대(18.5%)에서 전 장관을 다소 앞서며, 중장년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장관은 중도층 대상 조사에서도 선두를 달렸다. 본인을 중도 성향이라고 답한 응답자의 25.6%가 전 장관을, 12.3%가 박 시장을 지지했다. 본인의 정치 성향을 모르거나 밝힐 수 없다고 답한 응답자의 16.6%는 박 시장을, 7.2%는 전 장관을 택했다. 부산을 4개 권역으로 나눈 권역별 조사에서도 전 장관이 모든 권역에서 박 시장에 앞섰다.
차기 부산시장 여권 후보만을 대상으로 한 지지도 조사에서 전 장관은 25%로 선두를 달렸다. 이어 이재성(이하 직함 생략) 8.4%, 최인호 6.2%, 변성완 5.8%, 박재호 4.1% 등으로 나타났다. 차기 부산시장 야권 후보 대상 조사에서는 박 시장이 23.6%로 가장 앞섰다. 이어 조경태(이하 직함 생략) 12.6%, 김도읍 10.4% 등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도 민주당이 다소 앞섰다. 민주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40%로, 국민의힘 지지 응답(38%)에 비해 2%P 높았다. 이어 개혁신당 4.1%,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0.7% 순으로 조사됐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는 응답은 12.1%로 나타났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 평가와 박 시장의 부산시장 직무 평가는 희비가 갈렸다. 이 대통령 국정 평가 조사에서 52.4%가 긍정적(매우 잘하고 있다 34.5%, 대체로 잘하고 있다 17.9%)이라는 응답을 했고, 40.1%는 부정적(매우 잘 못하고 있다 29%, 대체로 잘 못하고 있다 11.1%)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박 시장 직무 평가에선 47.4%가 부정적(매우 잘 못하고 있다 29.1%, 대체로 잘 못하고 있다 18.3%)이라는 응답을 했고, 37.7%는 긍정적(매우 잘하고 있다 14.1%, 대체로 잘하고 있다 23.6%)이라고 평가했다. 응답자 거주 지역의 구청장 또는 군수가 내년 지방에서 다시 선출되는 게 좋겠냐는 질문에 46.3%가 ‘교체되어야 한다’고 답한 반면, 35.3%는 ‘다시 선출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본 조사는 <부산일보>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서 지난 7~8일 부산 지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사용된 피조사자 선정 방법은 통신사에서 제공받은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해 무선 자동응답(ARS) 조사로 진행했다. 가중값 산출과 적용 방법은 올해 8월 말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셀가중을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응답률은 5.4%로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