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군사협력에 미중일 대응도 복잡…우크라전도 영향 가능성

미 국무장관 “지원 차단 총력” …일본 정부도 노골적 경계심
중국 원론 속 복잡한 심리 감지…역내 미군 주둔 우려 관측
양국 밀월, 북한산 포탄·미사일 우크라행 가능성 커져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2024-06-20 15:05:54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며 친교를 다졌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선물한 아우루스 차량을 서로 번갈아 몰며 영빈관 구내를 달렸다. 김 위원장은 승용차의 성능을 높이 평가하며 사의를 표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금수산영빈관 정원구역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며 친교를 다졌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선물한 아우루스 차량을 서로 번갈아 몰며 영빈관 구내를 달렸다. 김 위원장은 승용차의 성능을 높이 평가하며 사의를 표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계기로 북러 밀착이 노골화하자 국제사회는 강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특히 양국이 체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과 군사·기술 협력이 장기화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국 정부는 북러의 노골적 밀착에 대해 시작 전부터 견제의 시선을 보내며 “우리는 면밀히 지켜보고 있으며 계속 그렇게 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18일(이하 현지시간) 푸틴의 방북 관련 브리핑에서 “우리는 어떤 나라도 푸틴의 침략전쟁을 돕는 플랫폼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고 밝혔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도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과 회담한 뒤 “이란과 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하는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계속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도 19일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 패널 토론에서 “우리는 권위주의 국가들이 점점 더 대열을 맞추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들은 이전에는 보지 못한 방식으로 서로를 지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도 경계심을 드러냈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북러 간 군사 연계 강화를 비롯해 일본을 둘러싼 지역 안전보장 환경은 한층 더 엄격해지고 있다 생각해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대북제재 논의를 포함해 북한 관련 대응에 적극 관여하겠다”고 말했다.

러시아와 북한의 우방국인 중국에서도 미묘한 기류 변화가 감지됐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브리핑에서 “북러는 우호적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을 위한 정상적 필요가 있고, 관련 고위급 왕래는 두 주권 국가의 양자 일정”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히는 데 그쳤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이 같은 반응에 대해 최근 몇 달 동안 러시아와 북한이 식량과 석유부터 무기까지 모든 것을 교환했다며 “결국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증가로 역내 미군 주둔 확대를 촉발할 수 있다는 점은 중국으로서도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짚었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도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경계하고 있다”고 보도해 주목받았다.

이같은 세계 각국의 우려에 더해 양국의 군사 협력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벌이는 전쟁에도 변화를 줄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 CNN 방송은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기술 협력은 북한 공장에서 만들어진 포탄과 미사일이 더 많이 우크라이나 최전선으로 간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조약 체결 등 북러 정상 간 이러한 밀착은 한동안 지원에 차질이 빚어졌던 미국 무기가 우크라이나로 가기 시작하고, 이 무기를 러시아 타격에 사용하는 데 있어 부과됐던 제한이 일부 풀린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CNN은 짚었다.

특히 러시아로선 북한의 핵무기 확대를 위한 자금과 기술을 드러내놓고 제공하고 이 때문에 중국을 화나게 할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전략적 이익은 아닐 수 있지만, 적어도 자국이 그렇게 할 의향이 있다고 서방이 믿기를 원할 수는 있다고 해당 매체는 분석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