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 2025-11-12 21:00:00
해양수산부가 임시 본청사로 활용할 IM빌딩(왼쪽 흰 건물)과 별관으로 활용할 협성타워(오른쪽 노란 건물). 부산일보DB
해양수산부의 연내 부산 이전이 가시화하면서 학군지나 신축 대단지를 중심으로 부산 부동산이 들썩이고 있다. 부산시는 전월세 담합행위나 허위 매물 중개 등을 단속하고 나섰다.
부산시는 해수부 부산 이전을 앞두고 지난 9~10월 ‘부동산 중개업소 특별 합동 지도·점검’을 실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이 과정에서 공인중개사법 위반 의심 사례 4건을 적발했다. 이 중 2건은 ‘중개사무소등록증 대여’ 등 무자격자가 중개행위를 한 것으로 의심돼 시 특별사법경찰이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중개사무소등록증을 게시하지 않은 사례 2건은 현지 시정 및 계도 조치를 취했다.
시는 해수부 임시 청사 예정지인 동구 IM빌딩과 협성타워를 중심으로 7개 구·군 66곳을 대상으로 불시 방문을 통해 지도·점검을 실시했다. 시 관계자는 “학군지, 대단지 등 주거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전월세 담합 우려가 있는지 등을 집중 조사했다”며 “대다수 업소가 공인중개사법을 준수하고 있었으며, 담합행위나 허위 매물 중개 등 중대한 위법 사례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지역 부동산 시장에서는 도시철도 1호선 라인을 따라 해수부 이전 파급효과가 먼저 나타날 것으로 본다. 실제로 지금도 동구와 서면 일대는 물론이고 연제구, 동래구 등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으로 전월세와 매매 문의가 확산되고 있다.
영산대 서성수 부동산대학원장은 “해수부 이전은 단순히 공무원 수백 명의 주거지 수요에서 그치지 않고 산하 기관이나 해양·수산 관련 기업 등 많은 이들의 지역 유입을 유도할 것”이라며 “3~4년째 이어지고 있는 부산 부동산 시장의 침체기가 해수부 이전과 내년 지방선거를 모멘텀으로 상승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