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 | 2025-05-01 20:03:00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공기 연장안 제출로 가덕신공항 적기 개항에 적신호가 켜지면서 수도권 일극주의에 맞선 동남권의 발전 전략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균형발전의 핵심 동력인 가덕신공항이 차질 없이 개항할 수 있도록 동남권 차원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진다.
1일 부산시에 따르면 가덕신공항은 부산시 대선공약뿐 아니라 부산·울산·경남이 공동으로 대선 공약에 반영해 달라고 건의한 협력사업에서도 핵심적인 축을 차지한다.
앞서 박형준 부산시장과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지사는 지난달 14일 부산시청에서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을 요구하는 부울경 협력사업 21개를 발표했다. 생활권 확장에 맞춘 초광역 인프라 사업으로 동남권과 가덕신공항을 잇는 광역철도와 고속철도 건설 사업이 대거 포함됐다. 구체적으로는 △차세대 부산형 수소 급행철도(BuTX)를 포함한 울산~부산~가덕신공항 간 광역철도 건설 △거제~가덕신공항 철도 연결 구축 △동대구~창원~가덕신공항 간 고속철도 구축 등이다.
각 지자체는 이들 철도 사업이 올해 하반기에 결정될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고 있다.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또한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위해 KTX 울산역과 양산~김해를 잇는 기존 구간을 가덕신공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김해와 부산시를 잇는 구간에 가덕신공항과 부산신항, 철도 인프라를 연계해 트라이포트 기반 글로벌 첨단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하는 ‘초광역 스마트 물류 플랫폼 구축’ 사업과 2033년까지 1조 3877억 원을 투입하는 ‘동남권 관광벨트 조성 공동 대응체계 구축 사업’도 가덕신공항 개항을 전제로 한다.
개별 시도의 대선 공약 과제도 마찬가지다. 부산시는 ‘글로벌 허브도시’를 목표로 가덕신공항의 적기 개항에 더해 2단계 확장과 BuTX, 핵심 연결교통망 구축으로 부산과 대한민국, 대한민국과 세계를 잇는다는 ‘가덕 메가커넥트 프로젝트’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경남도 공약 과제에 가덕신공항 배후도시 예정지 내에 컨벤션센터와 외국인 전용 카지노 시설 등을 갖춘 다목적 관광지를 조성하고, 가덕신공항과 연계한 고속철도 등을 확충해 관광지 접근성과 트라이포트 기반 국제물류 특구를 조성한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울산시도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건설을 비롯한 부울경 초광역 교통망 구축 사업을 핵심 공약 사업으로 발표했다. 울산연구원 정현욱 도시공간연구실장은 “울산시는 가덕신공항 개항에 맞춰 경주나 포항 시민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교통 거점 시설 설치를 계획 중인데, 개항이 늦어진다면 이 사업이 무산될 수 있고, 주변 개발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덕신공항 건설을 기점으로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활성화 전략을 함께 그려보자는 취지로 출범한 거버넌스도 이미 가동에 들어갔다. 부산시와 울산시, 경남도,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은 지난해 12월 ‘가덕신공항의 성공과 공항·항만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어 6개 기관과 연구기관, 민간 등 40여 개 기관을 연합해 ‘가덕도신공항 거버넌스’를 꾸렸다. 거버넌스는 가덕신공항의 성공적인 건설과 운영을 넘어 물류, 관광, 산업 등 부울경 지역 활성화에 필요한 분야에서 큰 그림을 그리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지방분권균형발전부산시민연대 박재율 상임대표는 “가덕신공항의 적기 개항 차질은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를 넘어 남부권의 발전에 심각한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며 “조기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부산시가 울산시, 경남도와 신속하게 소통해서 정치권과 정부를 상대로 좀 더 적극적이고 강력하게 공동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