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 2025-05-05 18:14:12
장예찬(사진) 전 최고위원 등 부산 국민의힘 탈당 인사들의 복당과 관련한 부산시당 의견서가 중앙당에 전달됐다. 오는 10일 전후로 결론이 날 것으로 관측되면서 부산 국민의힘 계파 갈등(부산일보 4월 28일 자 5면 보도)이 본격화될지 지역 정치권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5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지난 2일 당원자격심사위원회를 열고 복당 신청자들에 대한 심사를 진행했다. 다만 이 자리는 심사의 성격보다는 당초 시당위원장 직무대행인 정동만 의원의 약속대로 각 당협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담아내는 데 방점이 찍혔다.
지역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됐던 장 전 최고위원 복당과 관련, 수영 당협위원장인 정연욱 의원은 예상대로 반대 의견을 전달했다. 또한 그와 함께 당을 떠났던 박철중 시의원과 이윤형 구의원에 대해서도 같은 뜻을 내비쳤다.
결국 이들 복당의 공이 중앙당으로 넘어가면서 부산 국민의힘 내에서는 긴장감이 감지된다. 각 당협과 부산시당에서 밝힌 의사를 중앙당이 따를지 속단할 수 없는 상황인 까닭이다.
앞서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반명’(반이재명) 빅텐트 구성을 위해 “국민의힘은 오늘 당의 문을 다시 활짝 열겠다. 잠시 당을 떠났던 분, 다른 정당에 몸 담았던 분들, 과거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대선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지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독주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복당을 허가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경선 레이스에서 패배했다는 점도 당협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가능성에 힘을 싣는 요인 중 하나다. 장 전 최고위원은 지난 대선 국면에서 윤석열 당시 후보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친윤(친윤석열)계 핵심 인사다. 한 전 대표의 본선 진출 실패로 인해 당 주도권이 친윤(친윤석열)계로 넘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만큼 친한계인 정연욱 의원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장 전 최고위원의 복당을 두고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만큼 중앙당이 논란을 피하기 위해 당협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수 있다는 반론도 나온다. 부산 국민의힘 관계자는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내부 결속이 중요해 친한계인 정연욱 의원의 의견을 마냥 무시할 순 없을 것”이라면서 “보수 스피커인 장 전 최고위원의 복당을 두고 당의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기환 전 정무수석과 전봉민 전 의원, 이영풍 전 기자 등도 이번에 복당계를 제출했으며, 각 당협위원장은 찬성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