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닫는 주유소’ 2~3일에 1개꼴…경영난에 폐업도 골치

6년 반 동안 폐업 1000곳 육박
수익성 악화·영업익 1%대로 추락
석유3단체 “건축 규제 완화” 건의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2025-07-06 10:39:38

경영난에 폐업한 주유소 .연합뉴스 경영난에 폐업한 주유소 .연합뉴스

수익성 악화로 전국 주유소 수가 꾸준히 줄며 최근 6년 반 동안 1000곳 가까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 심화에 따른 경영난 때문인데, 업계에서는 까다로운 규제와 높은 정화 비용 등으로 폐업조차 어렵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 수는 2019년 1만 1499곳에서 올해 6월 말 기준 1만 528곳으로 971곳(8.4%) 줄었다. 단순 계산하면 2∼3일에 한 곳꼴로 문을 닫는 셈이다.

전국 주유소 수는 2010년 1만 3004곳으로 정점을 찍은 뒤 15년째 하락세를 보이며 구조적 축소 국면에 있다. 이 추세라면 3∼4년 내 주유소 수는 1만곳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수익성 악화가 꼽힌다. 통계청에 따르면 주유소 영업이익률은 1991년 17.8%, 2001년 11.5% 수준이었으나, 2023년에는 1.7%까지 고꾸라졌다.

업계는 이 같은 상황이 알뜰주유소 확산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사실상 정부 지원을 받는 알뜰주유소는 일반 주유소보다 L(리터)당 40∼50원 저렴한데, 일반 주유소에서 가격을 따르려다 보니 수익성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한국석유관리원에 따르면 알뜰주유소 수는 2019년 1182곳에서 올해 5월 기준 1290곳으로 오히려 증가했으며, 판매 점유율은 20%를 넘겼다.

여기에 친환경차 확산으로 중장기적으로 연료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해 국내에 등록된 친환경차(전기, 수소, 하이브리드) 비율은 10.4%로 1년 새 2.2%포인트(P) 증가하며 처음 10%를 넘겼다.

그러나 이 같은 수익성 악화에도 폐업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건축물 철거와 토지 정화 등 폐업에 들어가는 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주유소 부지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토양정밀조사, 지하 탱크 제거, 위험물 제거 등 절차를 거쳐 원상복구 해야 하는데, 이에 투입되는 비용은 평균 1억 원에 이른다. 때문에 1년 주기로 휴업과 영업을 반복하거나 아예 방치돼 '흉물'로 전락하는 주유소도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엔 주유소 영업이익률이 10%가 넘었지만, 지금은 폐업 비용조차 마련하기 힘든 영세한 곳이 태반"이라며 "경영 환경 개선을 위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대한석유협회·한국석유유통협회·한국주유소협회 등 석유 3단체는 지난 5월 주유소 관련 건축 분야에서 규제 개선을 완화해달라는 내용을 담은 건의문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건의문에는 지구단위계획에 따른 주유소 재건축 규제 완화, 주유소 재건축 시 해체 허가 대상 면적 완화, 신도시 및 산업단지 내 주유소 허용 용도 완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폐업도 어려운 한계 상황에 도달한 주유소에 대해서는 석유 유통 질서 확립 및 사고 예방을 위해 규제 완화를 통해 유외 사업 확대 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경영 활동 개선 및 원활한 전·폐업 유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