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양기관 한데 모아 경쟁력 높인다”

전재수 해양공약 4종 계획 발표
내년 1월 구체 이전 로드맵 윤곽
경쟁 공모로 지자체 1곳에 집중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2025-11-18 19:30:00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8일 레티시아 카르발류 국제해저기구(ISA)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있다. 해수부 제공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8일 레티시아 카르발류 국제해저기구(ISA)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있다. 해수부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지 8개월 만인 다음 달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의 현실화를 앞두고, 이 대통령의 ‘해양 공약 4종’도 연이어 숨 가쁘게 시행된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 대통령의 ‘해양 4종 공약’의 구체적 로드맵을 내년 1월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전 장관은 18일 〈부산일보〉에 “동남권투자공사, 해사법원, 산하 공공기관과 해운 대기업 등 설립·이전 계획이 담긴 로드맵을 1월 중순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각 기관·기업의 입지 선정과 이전 일정 등의 구체적인 윤곽도 이때 구체적으로 드러날 전망이다.

내년 1월 ‘해양 패키지’ 로드맵 발표는 오는 12월 이 대통령과 함께 하는 개청식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자리에서 전 장관은 이전 부지 선정 방식을 포함해 기관별 이전·설립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해수부 등에 따르면 각각 동남권투자공사는 2027년 1월, 해사법원은 2029년 1월 본격 개청을 목표로 설립 계획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수부 직원들은 12월 초까지 이삿짐을 꾸려 입주를 완료할 예정이다. 해수부 신청사 입주는 2030년 말을 목표로 진행된다. 다만 해수부 산하의 공공기관과 해운 대기업 이전 등은 각 기관과 기업 별로 진행 상황이 달라 조정을 통해 내년 1월 구체적인 계획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 신청사를 포함한 해양·수산 기관 등은 부산 지자체 중 1곳에 집적화 방식으로 설립될 가능성이 크다. 전 장관은 “해수부 신청사와 해사법원, 동남권투자공사 해양·수산 기관은 부산 내 16개 구·군 중 1곳에 집적화할 방침”이라며 “부산 구·군 간 ‘경쟁 공모’를 통해 집적화 부지를 정하는 방식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 장관은 취임 초기부터 부산을 글로벌 해양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해수부 본부와 산하 주요 공공기관. 해운선사를 비롯한 크고 작은 해양·물류 기업과 설립을 추진 중인 해사법원까지 한곳에 집적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계속해 왔다.

주목받는 부지 선정 단계에서 ‘경쟁 공모’ 방식을 택하면 해수부 부산 이전 효과를 극대화하고 시민들의 기대감을 끌어올릴 수 있어 이벤트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 장관은 본회의 통과만 남은 ‘부산 해양수도 이전기관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이 최종 통과되면 해양수도 부산이 법적으로 명시된다는 점을 부각했다.

전 장관은 “부산 16개 구·군이 가진 해양 자원을 총동원하는 과정에서 해양수도 부산 맞이를 위한 집단 학습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각 구·군이 가진 예산, 부지 등 자원이 드러나면서 해양수도 부산을 위한 동력도 집중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