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상임위도, 부의장도 후순위… 권력 교체기 맥 못 추는 PK

상임위, 이해 충돌 배치 등 논란
부의장, 주호영에 밀린 조경태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2024-06-25 18:07:37

국민의힘이 7개 상임위원장을 수용하기로 결정하면서 부산 지역 국회의원에 대한 상임위원회 배정 작업도 마무리됐다. 하지만 균형에 맞지 않는 상임위 배분에 이해 충돌 문제까지 드러나면서 막판 변동 폭이 클 것으로 보인다. 당의 ‘섣부른 배정’이란 비판 속, 부산 의원들도 체계적인 상임위 조율과 지도부 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당은 오는 27일 본회의를 열고 7개 상임위원장을 선출한 뒤 22대 국회 원 구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전날인 24일 상임위 통보 명단 기준으로 부산 의원 중 일부 초선 의원들은 ‘1순위 상임위’에 안착했다는 평이 나오지만, 중진 의원들은 대체로 희망 상임위와 거리가 있었다. 부산 의원이 소속된 상임위는 위원회별로 행안위 3명, 교육위 3명, 국토위 2명, 법사위 2명, 기재위 2명, 운영위 2명, 농해수위 1명, 정무위 1명, 정보위 1명, 농해수위 1명, 복지위 1명, 문체위 1명, 산자위 1명 등이다. 국토위에 배정된 부산 유일 3선 김희정 의원은 1년간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장을 맡는다.

부산에서 행안위에만 의원 3명이 배치되고, 교육위에도 3명이 우르르 배정되는 등 상임위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재선의 백종헌 의원은 산자위로 배정됐다. 백 의원은 부산 숙원 사업인 ‘침례병원 공공화’ 실현을 위해 복지위 배정을 거듭 요청해 왔다. 특히 백 의원은 그가 대표로 있던 비철금속 업체 백산금속의 대주주인 탓에 산자위에 소속될 경우 이해 충돌 소지가 다분하다.

여기에 환경노동위, 외교통일위, 국방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등 상임위는 전무하다. 특히 환노위의 경우 개발과 밀접한 환경영향평가 등 절차를 조율할 수 있는 만큼, 지역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상임위로 꼽힌다. 산자위 역시 백 의원이 빠질 경우를 대비한 충원 전략이 필요하다. 당에서 지역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나오지만, 부산 의원들 간 제대로 된 조율 과정 없이 당 결정에만 의존한 결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상임위 배정을 앞두고 중심추 역할을 했던 의원이 없었다는 것이다. 박수영 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은 “산자위와 환노위 등 상임위에도 부산 의원이 고르게 배정되어야 하는 만큼 재조정 등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 몫 ‘국회부의장’ 경쟁도 마찬가지다. 부산 최다선인 조경태 의원은 주호영 의원과 조율을 거쳐 전반기엔 주 의원, 후반기에 조 의원이 맡기로 협의했다. 앞서 조 의원을 부의장으로 추대하기로 부산 의원 간 ‘세몰이’ 움직임도 일었으나 결국 교통 정리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4선의 박덕흠 의원이 등판하면서 경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국회와 당 권력 교체기에 부산 등 PK 지역 의원 수가 많아졌지만 당 요직 도전자가 없는 등 부산 정치권이 중앙에서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아쉬움이 이어지고 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