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 2025-05-18 17:15:21
6.3 대선을 보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개헌 논의에 발을 들이며 잠잠했던 개헌 논의에 불이 붙었다. 개헌론에 선을 그은 유일한 후보였던 이 후보의 참전으로 개헌 논의는 이번 대선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차기 정부가 개헌을 추진하더라도 정당 간 입장 차가 뚜렷해 이 후보가 개헌 로드맵으로 제안한 내년 지방선거까지 합의 도출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후보는 18일 기존의 “내란종식이 개헌보다 우선”이라는 입장을 선회하고 전격 개헌 공약을 발표했다. 앞서 지난달 우원식 국회의장이 띄운 ‘대선·개헌 동시 투표’ 개헌 제안은 정치권 호응에 힘입어 확대됐다가 이 후보가 ‘시기상조’라며 사실상 거부한 뒤 사그라졌다. 개헌 논의가 잠잠해진 지 한 달여 만에 이 후보가 다시 불을 당긴 셈이다.
이 후보의 개헌에 대한 전향적 태도에 범야권 인사들은 지원 사격에 나섰고,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도 이 후보 공약 발표 약 7시간 만에 전격 개헌 청사진을 내놨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대선 출마 선언 당시 “높은 위치에 올라가면 즉시 개헌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유력 대선 후보 전원이 개헌 추진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개헌 논의가 이번 대선의 핵심 쟁점으로 올라서는 모양새다.
다만 구체적인 안을 들여다보면 권력 개편을 둘러싼 정당 간 입장 차가 뚜렷해 차기 정부에서 개헌 성사까지는 진통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 후보는 이날 이 후보가 발표한 ‘4년 연임제’ 공약을 두고 ‘연임제’ 도입에 대한 입장 차를 드러냈다. 김 후보는 이 후보에게 “용어 선택에 대한 해명을 요구한다”며 “이재명 후보는 ‘연임제’라는 표현 속에 장기 집권의 여지를 두고 있는 것이 아닌지를 밝혀야 한다”고 했다.
권력구조 개편 방안에 대해서도 김 후보는 헌법 84조에 규정된 대통령 불소추특권의 전면 폐지를 주장했다. 현재 5개 재판을 받고 있는 이 후보를 겨냥한 개헌안이다. 김 후보는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형사재판을 받지 않을 권리를 폐지하고 만민평등의 대원칙을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거부권 제한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국회 통제 강화 △수사기관 및 중립적 기관장 임명 시 국회 동의 의무화 등을 대통령 권한 분산 안으로 삼은 이 후보와는 다른 방향이다.
이 후보는 개헌 국민투표 시점 내년 6월 지방선거나 2028년 4월 총선을 제시하며 “지금이 아니면 개헌 타이밍을 또 놓친다”며 강한 추진 의지를 드러냈다. 선거를 보름 앞둔 시점에서 갑작스럽게 개헌에 대한 입장을 선회한 것 사법리스크 공세를 정면 돌파하고 집권 이후 권력구조 재편의 방향을 선제적으로 제시해 ‘대세론’ 굳히기를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해석된다. 후보들 간 개헌 화두를 선점해 차별화된 국정 설계 능력을 부각하려 정치적 판단으로도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