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불임금이 2008년 금융위기 이래 최고 수준인 8천131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기준 임금이 밀린 근로자는 18만 4천명으로 지난해 보다 9.5% 증가했다. 체불임금규모는 8천131억원으로 같은 기간 8.1% 늘었다.
이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체불임금 규모는 1조 3천억원을 웃돌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고용부는 31일부터 다음달 13일를 `체불임금청산 집중 지도 기간'으로 정하고 상습체불 사업주에 대한 집중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전국 47개 지방관서 1천여명의 근로감독관을 투입해 체불임금 청산 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고용부는 5억원 이상 고액 체불임금은 지방 관서장이 직접 지휘·관리하도록 했다.5인 이상 집단 체불은 '체불임금 청산 기동반'을 운영해 현장에서 대응한다.
익명 제보도 받는다.고용부는 재산 은닉 등 체불 청산을 고의로 지연하거나,상습적으로 체불하는 사업주는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벌할 방침이다.
다만 일시적인 경영난으로 불가피하게 체불이 발생한 사업주는 최대 5천만원 융자로 체불임금 청산을 지원한다.체불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1천만원 한도 내에서 생계비도 빌려준다.
이동훈 기자 ldh@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