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산에서 잇따른 돌봄 공백 화재 참사와 관련해 정부 관계 당국이 사고 현장을 찾고 국무조정실장 주재 긴급회의를 여는 등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지난 4일 관계 당국은 정부서울청사에서 ‘부산 아파트 화재 아동 사망 관련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돌봄 공백과 관련해 아이돌봄서비스 저소득층 이용자 부담을 완화하는 ‘야간 시간대 특화 긴급 돌봄 시범 사업’ 추진, 거점 지역아동센터 연장 돌봄 확대 등이 논의됐다. 또 정부는 전국 2만 4000여 단지 노후 공동주택의 취약점을 점검하고, 스프링클러 사후 설치 여부를 검토할 전망이다. 아파트에서 불이 나면 소방관이 거주자 정보를 파악하고 직접 아동·보호자에게 연락해 피난을 안내하는 ‘화재 대피 안심콜’도 도입한다. 전기·가스 관련 안전용품 보급, 연기 감지기 교체 등 화재 위험 요소 제거와 소방 설비 보강을 위한 대책도 추진된다.
행정안전부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등 정부부처 관계자와 부산시도 같은 날 기장군 참사 현장을 방문하고 시청에서 재발 방지 대책회의를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