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부산 이전' 직원 인센티브는?… '주택 특별 공급' 큰 관심

부산시 "시행사 협의 거쳐 검토"
정착·교육·조세 3개 분야 고려
영어 교육·전입학 장려금 호응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2025-07-06 18:29:57

부산항 북항 재개발 지역이 해양수산부 이전의 1순위 예상지로 손꼽히면서 북항 일대 부동산 문의가 급증하고, 인근 오피스텔은 시장 불황에도 완판에 성공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항 북항 재개발 지역이 해양수산부 이전의 1순위 예상지로 손꼽히면서 북항 일대 부동산 문의가 급증하고, 인근 오피스텔은 시장 불황에도 완판에 성공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속도를 내면서 부산으로 이주해 오는 해수부 직원들을 환영해 줄 ‘인센티브’에도 관심이 모인다. 부산시나 해수부 입장에서는 임시 청사 마련이 더 시급한 과제로, 청사 찾기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지만 내려오는 직원들 입장에서는 주거, 교육 여건이 ‘가족 동반 이주’ 여부를 결정할 가장 큰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부산시는 6일 “이번 해수부 이전에 따른 이주 직원 혜택은 크게 정착 지원과 교육 지원, 조세 지원으로 나뉘며, 2014~2015년 1차 공공기관 이전 당시에 준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1차 공공기관 이전 때 적용한 혁신도시법은 이번 해수부 이전 때는 적용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 이전은 혁신도시법이 정한 ‘수도권에서 수도권이 아닌 지역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에 해당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1차 공공기관 이전 당시, 조세 지원으로 이전기관에는 재산세 50%를 감면해 주고 이전 목적으로 취득하는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와 법인 등록세, 법인세 등을 감면해 줬다. 이전 기관 종사자에게는 주택 구입 취등록세 감면(85㎡ 이하, 면제) 혜택이 주어졌다.

또 대연혁신지구에 별도로 주거단지를 조성, 민영주택 특별 공급 지원을 해줬다. 정착 지원으로 세대당 100만 원의 이주비 지원, 공무원 인사 교류 등 배우자 직장 교류 지원, 배우자 재취업 알선·교육, 주말농장 무상 분양 지원 등이 이뤄졌다.

교육 지원 분야에서는 중교생 자녀 정원 외 전입학 수용, 이주 직원 자녀 전입학 장려금 지원, 부산글로벌빌리지 영어마을 여름방학캠프 지원 등이 이뤄졌다. 공동 주거지 내 초등학교나 국공립 어린이집·유치원 설립, 직장어린이집 설립 지원 등도 이뤄졌다.

해수부 직원에게도 가장 큰 관심사는 ‘주택 특별 공급’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의 한 금융공기업 직원은 “우리 때도 그랬지만 해수부 직원들에게도 가장 큰 메리트이자 관심사는 특별 분양이 될 것”이라면서 “분양가가 좀 높긴 하지만 르엘 리버파크 센텀이나 써밋 리미티드 남천에 대한 특별 분양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시 주택 특별 공급 지침에 따르면 주택의 10%까지 특별 공급을 해야 한다”면서 “해수부 직원들에 대한 특별 공급이 가시권에 든다면 시행사와의 협의를 거쳐 적극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글로벌빌리지 등 자녀 영어 교육 지원, 전입학 장려금 지원 등에서 이주 직원 호응도가 높다는 게 부산시 관계자의 전언이다.

또 다른 금융공기업 관계자는 “부산은 다른 혁신도시는 물론 세종보다도 주거, 교육, 의료 환경이 훨씬 낫다고 본다”면서 “북항이든 문현이든 어디든 도심 안에 근무처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데, 출퇴근 이동 거리도 짧고 정주 여건이 좋아 삶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

실제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부산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의 가족 동반 이주율은 83.1%로, 2020년 77.5%보다 더 높아졌다. 부산시 관계자는 “기존 직원 퇴직 후 새로 뽑힌 직원들은 부산에 정착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