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 2025-07-21 17:49:37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 강행 기류에 이어 대통령실 강준욱 국민통합비서관의 비상계엄 옹호 논란이 겹치면서 이재명 정부의 초반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 여권 내에서도 강 비서관과 강 후보자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이어지며 대통령실의 인사 검증 문제가 도마에 오르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우상호 정무수석은 2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를 통해 이 대통령의 강 후보자를 임명 의지를 거듭 전했다. 우 수석은 ‘강 후보자와 관련한 (대통령) 판단이 임명 전에 바뀔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임명하니까 어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 발표를 한 것이다. 만약 임명 안 할 거면 왜 나눠서 발표했겠느냐”고 답했다.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에 대한 의혹이 함께 불거진 상황에서 이 후보자의 지명만 철회한 것은 강 후보자의 임명이 결정됐기 때문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강 후보자 임명 강행 기류에 대한 반발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보좌진 갑질 의혹 등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장관 임명은 이 대통령이 강조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여기에 문재인 정부에서 여성가족부 장관을 지냈던 정영애 전 장관도 강 후보자 비판에 가세했다. 정 전 장관은 전날 지인들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과거 강 후보자의 갑질 정황을 담은 내용을 공유했다. 지역구 사업 협조가 어렵다는 말에 강 후보자가 ‘하라면 하는 거지 무슨 말이 많냐’며 부처 예산 삭감으로 압박했다는 등의 내용이다. 강 전 장관은 “민주 정부 4기의 성공을 간절히 희망하는 저의 진의를 잘 살펴주시면 좋겠다”며 강 후보자 임명 강행에 대한 우려의 입장을 표하기도 했다.
이재명 정부 첫 국민통합비서관으로 임명된 강 비서관에 대한 사퇴 요구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강 비서관이 올해 발간한 저서 내용이 논란이 되면서다. 강 비서관은 저서에서 “나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야당의 민주적 폭거에 항거한 비민주적 방식의 저항이라고 정의한다”고 더불어민주당을 직격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을 옹호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에 대해 “대통령이 된다면 강력한 공포의 전체주의적이고 독선적인 정권이 될 것 같다”고도 썼다.
이에 민주당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강 비서관 논란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인수위가 없는 정부였기 때문에 만약 실수였다면 재고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같은 당 신정훈 의원도 페이스북에 “즉각 파면만이 분노를 잠재울 유일한 방책”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