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일 만 선발’ 손흥민 유로파 결승 자신감

애스턴 빌라전서 선발 74분 소화
22일 유로파리그 결승 활약 기대
특유의 폭풍드리블 건재함 과시
BBC "손흥민 복귀 토트넘 희망"

김진성 기자 paperk@busan.com 2025-05-18 18:03:07

부상 여파 등으로 36일 만에 공식 경기 선발 출전한 토트넘의 ‘캡틴’ 손흥민. 로이터연합뉴스 부상 여파 등으로 36일 만에 공식 경기 선발 출전한 토트넘의 ‘캡틴’ 손흥민. 로이터연합뉴스

부상 여파 등으로 36일 만에 공식 경기에 선발로 출전한 토트넘 홋스퍼의 손흥민이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 활약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손흥민은 17일(한국 시간) 영국 버밍엄 빌라파크에서 열린 2024-2025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PL) 37라운드 애스턴 빌라와의 원정 경기에 선발 출전해 74분을 뛰고 후반 29분 도미닉 솔란케와 교체됐다.

17위 토트넘은 이날 패배로 리그 6경기 연속 무승(1무 5패)을 이어갔다. 시즌 21패째(11승 5무)를 당한 토트넘은 1992년 프리미어리그 출범 이후 단일 시즌 리그 최다 패배 구단 기록(종전 19패)을 또다시 새로 썼다. 이와 함께 토트넘은 올 시즌 공식전을 통틀어 25패를 기록해 프리미어리그 출범 직전 시즌인 1991-1992시즌 세운 단일 시즌 최다 패배 구단 기록과 타이를 이뤘다.

하지만 애스턴 빌라전은 토트넘과 손흥민에게는 의미가 있었다.

손흥민이 공식전에서 선발로 나선 것은 지난달 11일 열린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독일)와의 유로파리그 8강 1차전 이후 36일 만이다. 경기수로는 무려 9경기 만이다.

프랑크푸르트전에서 발을 다친 손흥민은 이후 프리미어리그 4경기를 포함한 7경기 연속 출전 선수 명단에서 제외됐다. 그는 지난 11일 크리스털 팰리스와의 리그 홈 경기에서 후반 13분 교체로 투입되면서 복귀전을 치렀다.

36일 만에 공식 경기 선발로 나선 토트넘의 손흥민이 17일 영국 버밍엄 빌라파크에서 열린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PL) 37라운드 애스턴 빌라와의 원정 경기에서 특유의 폭풍 드리블 후 센터링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36일 만에 공식 경기 선발로 나선 토트넘의 손흥민이 17일 영국 버밍엄 빌라파크에서 열린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PL) 37라운드 애스턴 빌라와의 원정 경기에서 특유의 폭풍 드리블 후 센터링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날 애스턴 빌라전은 오는 22일 스페인 빌바오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잉글랜드)와 치를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을 앞두고 토트넘과 손흥민에게는 마지막 실전 무대였다.

이날 경기에서 손흥민은 완벽한 모습을 보이진 않았다. 슈팅은 단 한 차례에 그치고 6번의 그라운드 볼 경합에서 모두 실패했다. 세 차례 시도한 크로스도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

하지만 전반 40분 특유의 폭풍 같은 드리블 후 크로스를 시도하는 등 몸 상태에 문제가 없음을 보여준 대목에서 유로파리그 결승전 활약을 기대하게 했다.

영국 방송 BBC도 “토트넘에 희망의 불씨를 지핀 것은 지난 한 달간 발 부상으로 경기에 나서지 못했던 주장 손흥민이 돌아온 것”이라고 의미를 뒀다.

안지 포스테코글루 토트넘 감독도 팀의 주축 손흥민이 유로파리그 결승에 뛸 준비가 됐음을 인정했다. 그는 스카이스포츠와 인터뷰에서 “손흥민이 다시 리듬을 찾아가는 것 같다. 유로파리그 결승에서 최상의 경기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손흥민은 경기 후 유로파리그 결승전 활약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그는 “경기에 뛸 시간이 주어져 좋았다. (유로파리그 결승을 치르는 현지 시간) 수요일에도 준비가 잘 돼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벤치 신세였던 시간도 되돌아본 손흥민은 “동료들과 함께 뛰지 못하고 경기를 지켜보는 건 정말 힘들었다”면서 “선수들이 유로파리그 8강과 준결승에서 환상적인 경기를 펼쳤다. 그들이 축하하는 모습을 보니 정말 기뻤다. 그들은 자격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손흥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우리가 해낼 수 있다고 믿는다”면서 “우리 모두 하나의 목표를 향해 한마음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