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 2025-05-21 16:13:27
올해 첫 해수욕장 개장을 앞둔 부산 다대포해수욕장 동측 해안 한가운데 놓인 우수관로가 피서객 안전을 위협한다는 지적(부산일보 5월 8일 자 2면 보도)이 제기되자, 사하구청이 이달까지 안전 펜스 등 접근을 차단하는 시설을 설치한다. 또 해수욕장 개장 시기에는 안전 요원을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부산 사하구청은 이달까지 다대포해수욕장 동측 해안에 있는 우수관로 주위로 총 100m 길이의 펜스를 설치할 것이라고 21일 밝혔다. 현재 우수관로를 둘러싼 석벽을 따라 성인 허리춤 높이의 펜스를 설치, 피서객의 추락 등 안전사고를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현재는 공사장 현장에 주로 쓰이는 끈이 둘러져 있으나 안전사고를 막기에는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해변을 통해 우수관 안쪽으로 진입할 수 없도록 길목을 차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우수관과 연결된 길목 앞에 진입 금지를 알리는 스크린 구조물을 세워 피서객이 다가오는 것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사하구청은 모든 안전 조치를 해수욕장이 개장하는 오는 7월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해수욕장 개장 시기부터는 안전 요원을 배치해 우수관로에 접근하는 피서객을 통제한다는 방침도 검토하고 있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꼽히는 우수관 이설에 필요한 예산 확보도 병행 중이다. 사하구청에 따르면, 사하구청은 올해 7월 행정안전부에 특별교부세 25억 원을 신청한다.
앞서 사하구청은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우수관 이설을 위해 실시설계 용역에 착수해 우수관 출구를 몰운대 쪽이나 성창방파제로 옮기는 방안을 도출했다. 이번 예산 확보에 성공한다면 현재 다대포 동측 해안으로 나 있는 우수관로를 몰운대 혹은 성창방파제 쪽으로 옮기는 방안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하구청 도시정비과 관계자는 “시급한 지역 현안이라 판단하고 특별교부세를 신청할 계획”이라며 “25억 원을 구비로 감당하기는 어려워 국비 지원이 절실할 실정”이라고 말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 넓은 백사장으로 유명했던 다대포해수욕장 동측 해안은 연안 침식에 따라 해변이 소실돼 관광객들이 줄어들고, 특히 태풍 발생 시 높은 파도로 인해 인근 상가와 주택의 침수 피해가 잦았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비 335억 원을 들여 방재호안, 수중방파제를 조성하고 4만 9000㎡의 모래를 투입했다. 백사장 복원사업을 통해 탄생한 이곳 백사장 규모는 폭 50m, 길이 550m다.
그러나 사업을 담당한 부산항건설사무소 측이 1980년대부터 이곳에 있던 우수관로를 그대로 둔 채 해수욕장을 조성해 흉물 해수욕장 논란이 일었다. 무엇보다 피서객이 찾는 해수욕장 바로 옆에 아무렇게나 우수관이 놓여 있어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와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