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 2025-07-02 13:24:56
가덕신공항 부지조성공사 수의계약을 포기한 현대건설을 두고 정치권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정호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사업을 농락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현대건설에 대한 제재와 계약 과정에 대한 수사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현대건설이 수의계약 포기를 선언한 것은 계약 조건을 고의적으로 거부한 것”이라며 강력한 제재를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최인호 전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시정평가대안특위 위원장)도 함께 참여했다.
이들은 “현대건설이 당초 입찰조건을 위반해 공사기간을 24개월 연장하고 인건비, 자재비, 금리 등 1조 원 이상의 공사비 인상을 요구했다”며 “현대건설은 공기 연장 등 조건 변경이 없으면 계약을 체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방식으로 계약 조건 이행을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국가 공권력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자, 부울경 시·도민을 우롱하는 행위”라며 “국가사업을 흔드는 행태에 대해 마땅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 현대건설을 국가계약법상 부정당업자로 지정해 공공입찰 참여를 제한하는 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계약 과정 자체에 대한 문제 제기도 나왔다. 이들은 국토부가 설계·시공 업체 선정 방식을 경쟁입찰에서 수의계약으로 전환한 과정에 의혹이 있다고 주장하며 계약 절차 전체를 다시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총 10조 5300억 원 규모의 가덕신공항 부지조성공사가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단독 응찰로 세 차례 유찰된 뒤 수의계약으로 전환됐는데, 이 과정 자체가 특정 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요식행위였던 것으로 보인다”며 “윤석열 정부의 국토부가 현대건설에 특혜를 제공했는지 여부를 수사로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대건설의 계약 포기를 향한 비판은 야당에서도 제기됐다. 앞서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도 현대건설의 일방적인 계약 철회를 문제 삼으며, 국토교통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지난달 25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입찰 당시 국토부가 제시한 84개월 공기를 전제로 현대건설이 수의계약 절차에 참여했지만, 기본설계 기간 6개월 동안 활주로 예정 해역에 지반 시추조사를 단 한 차례도 실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토부는 이미 42개 지점에 대한 시추조사를 바탕으로 84개월 공기를 산정했는데, 현대건설은 별도 조사 없이 108개월을 요구하며 계약을 철회했다”며 “이로 인해 가덕신공항 개항이 최소 1년 이상 지연됐다. 국토부는 이런 무책임한 행태에 대해 분명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